일부 건축물의 철거가 예정돼 있는 ‘부평 캠프마켓’을 공원으로 만들어 온전히 보전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인천포럼(대표 이학재)은 ‘부평캠프마켓의 미래가치와 활용방안’에 대한 특별토론회에서 이같은 의견이 도출됐다고 1일 밝혔다.
비대면 유튜브 방송으로 진행한 토론회는 이학재 대표가 사회를 맡고, 조우성 전 인천시립박물관장과 이장열 경인교대 기전문화연구소 연구위원이 토론자로 참석했다.
조 전 관장은 “부평캠프마켓은 일제강점기 때 조병창(무기 제조공장)이라고 불리며 대륙 침탈의 교두보 역할을 했고, 한국전쟁 후에는 한미군사동맹의 매우 중요한 역사적 공간으로 활용된 만큼 당시 건축물들은 역사적 의미를 되새길 수 있도록 보존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연구위원 역시 “부평캠프마켓 내 조병창 병원건물은 대한민국 육군 병원 1호이며, 건축사 뿐 아니라 군사학적으로도 보존하고 연구해야 할 소중한 문화유산”이라고 강조했다.
이미지 확대
부평 캠프마켓 활용방안 관련 토론회 모습[인천포럼 제공]
토론자들은 캠프마켓 활용 방안에 대해서도 인천시와 다른 입장을 보였다. 조 관장은 “녹지가 없는 도시는 메마른 우물과 같다”며 “캠프마켓 44만㎡의 귀중한 부지는 공공시설 및 사적활용을 위해 사용하기 보다는 시민을 위한 공간이 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연구위원은 “인천시가 캠프마켓 개발에만 몰두해서는 안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이 대표는 “캠프마켓은 한미동맹의 상징”이라면서 “인천시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문화공간이자 인천의 랜드마크가 될 수 있도록 뉴욕의 센트럴파크 같은 공원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국방부는 일제가 1939년 설치한 조병창 부속 병원건물이 캠프마켓 내 오염토양 정화에 걸림돌이 되자, 인천시에 병원 건물 존치 여부를 물었다. 인천시는 캠프마켓 시민참여위원회가 지난 6월 철거해야 한다고 입장을 정리하자, 위원회 의견을 첨부해 국방부에 철거 의견을 보냈다. 이를 알게된 인천지역 시민사회와 문화재청은 인천시와 국방부에 건물 보존을 권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