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 생태놀이터 ‘아이뜨락’ 중복투자 논란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4-07-03 00:00
입력 2014-07-03 00:00

올 12개 지역에 시범조성 계획

환경부가 국민의 생태 휴식공간 확충 계획으로 추진 중인 ‘아이뜨락’ 조성사업을 놓고 중복 투자 논란이 일고 있다. 산림청 등에서 시행 중인 도시숲 및 숲 유치원, 도시공원 등과 유사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일 환경부에 따르면 도시의 어린이에게 자연을 이용한 놀이공간을 제공하고 시민의 휴식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생태놀이터 아이뜨락이 올해 전국 12개 지역에 시범 조성될 계획이다. 소요예산은 50억원, 이 중 30%인 15억원을 국비로 지원한다. 2017년까지 100곳으로 확대된다.

아이뜨락은 놀이터의 획일화된 놀이시설을 배제하고 나무·자갈·흙 등 자연 놀이요소를 활용해 놀이와 생태체험, 휴식 등을 할 수 있는 공간이다. 주변지역 특성에 따라 도심생활형·산림인접형·수변(水邊)형 등 3개 유형으로 조성된다. 최종원 환경부 과장은 “어린이에게 자연의 친밀성을 높여주고 정서발달에 도움을 주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도시숲에 생태기능을 강화하는 데 그쳐 차별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생태놀이터를 빼면 도시공원, 도시숲, 수변공원과 유사하다. 도시 주거생활권의 국·공유지 중 유휴·방치부지와 방치된 공원·녹지공간, 인공 노후된 놀이터 등으로 대상지역도 비슷하다. 사업면적 및 사업을 담당하는 지자체의 담당 부서도 동일하다.

산림청 관계자는 “도시숲에서 생태와 교육, 휴식, 체험 등 다양한 기능이 가능하다”면서 “생태놀이터를 분리 조성하는 것보다 협업 차원에서 도시숲에 접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지적했다.

대전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2014-07-03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