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혼 남녀 “결혼 위해 일자리 해결돼야”

정현용 기자
수정 2016-08-18 18:04
입력 2016-08-18 17:58
보건사회연, 2383명 설문조사… 남녀 모두 ‘고용안정’ 1순위 꼽아
18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15년도 전국 출산력 조사’에 따르면 20~44세 미혼 남녀 238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미혼 남성의 86.3%와 미혼 여성의 87.7%가 결혼 관련 국가정책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미혼 남성은 ‘청년 고용 안정화’(32.6%)를 가장 필요한 결혼정책으로 꼽았다. 이어 ‘신혼집 마련 지원’(27.4%), ‘청년실업 해소’(23.0%), ‘허례허식 혼례문화 개선’(6.5%), ‘장시간 근로 관행 타파’(6.0%), ‘결혼으로 인한 직장 내 불이익 제거’(4.4%)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미혼 여성은 ‘청년고용 안정화’(28.6%), ‘신혼집 마련 지원’(24.1%), ‘결혼으로 인한 직장 내 불이익 제거’(20.3%), ‘청년실업 해소’(16.5%), ‘허례허식 혼례문화 개선’(5.6%), ‘장시간 근로 관행 타파’(4.9%) 등의 순으로 답했다.
미혼 남녀는 교육 수준과 취업 여부 등 자신이 처한 상황에 따라 선호하는 결혼정책에서 차이를 보였다. 미혼 남녀 모두 고졸 이하는 ‘청년 고용 안정화’가 가장 중요하다고 여겼다. 대학 재학 중인 남녀는 ‘청년 실업 해소’, 대졸 이상은 남녀 각각 ‘신혼집 마련 지원’과 ‘장시간 근로관행 타파’를 꼽았다. 취업 중인 미혼 남녀는 ‘신혼집 마련 지원’이 가장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2016-08-19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