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의 공익가치 221조원…국민 1인당 428만원 혜택

박승기 기자
수정 2020-04-01 12:37
입력 2020-04-01 12:37
온실가스 흡수.저장 기능 약 76조원으로 최다
우리나라 산림의 공익적 가치가 2018년 기준 221조원으로 평가됐다. 국민 1인당 연간 428만원의 공익적 혜택을 받는 셈이다.
기능별로는 온실가스 흡수·저장기능이 75조 6000억원으로 전체 34.2%를 차지했다. 이어 산림경관(28조 4000억원), 토사 유출방지(23조 5000억원), 산림휴양 기능(18조 4000억원) 순이다. 또 산림 정수(13조 6000억원), 산소생산(13조 1000억원), 생물 다양성 보전(10조 2000억원), 토사 붕괴방지(8조 1000억원), 대기 질 개선(5조 9000억원), 산림 치유(5조 2000억원), 열섬 완화 기능(8000억원) 등으로 평가됐다.
공익적 가치 상승은 2014년과 비교해 입목 부피가 증가하고, 각종 대체 비용 상승 등이 반영됐다. 다만 나무의 나이가 높아지면서 순 입목 생장량이 줄면서 산소생산 기능은 감소했다. 도시림 확대로 도시의 온도를 낮추는 기능은 확대됐지만 전기의 시장판매가격 하락으로 열섬 완화 기능도 떨어졌다.
전범권 국립산림과학원장은 “입목 및 산림토양의 탄소저장 능력이 추가되면서 평가액이 크게 증가했지만 잘 가꾼 산림의 높은 가치를 보여주는 지표”라며 “산림자원 순환경제를 구축해 공익기능을 지족적으로 확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대전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