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자 소비 적은 MZ세대의 흥미를 유발시켜야”

박승기 기자
수정 2021-05-06 14:35
입력 2021-05-06 14:35
2년차 새내기 공무원 인천세관 오보름 주무관
MZ세대가 주도하는 세관 알리기 프로젝트 호응
세관=입국장 인식 깨기에 MBTI 첫 활용
“2030(MZ)세대는 활자 소비가 없는, 신문도 잘 읽지 않는 ‘사각지대’다. 이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차별화가 필요하다.”

MBTI 테스트는 성격 분석을 통한 직업탐구 등에 활용되고 기업 마케팅 기법으로도 사용되지만 공공분야 홍보에 적용한 것은 처음이다. 인터넷과 정보통신기술(IT)에 친숙하고 TV·컴퓨터보다 스마트폰을 이용하며 텍스트가 아닌 이미지나 동영상 콘텐츠를 선호하는 특징을 반영했다. 오 주무관은 MBTI 테스트의 틀을 활용하되 질문을 20개로 정리하고 인재유형을 ‘국경관리형·불법단속형·변화혁신형·위기극복형’ 등 세관 업무와 연관시켜 16개로 재구성했다. 테스트 결과에 따라 기사를 링크시켜 뉴스 소비 유형을 분석했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와 세관 관련 블로그 등을 통해 실시한 테스트에는 8800여명이 참여?고 유의미한 결과가 있었다. 인재유형이 나온 뒤 링크된 기사를 확인한 뒤 ‘좋아요’를 누르고 댓글을 남기는 등 관심이 높았다. 그동안 세관 관련 기사는 면세점이나 탐지견 외 관심이 끄는 기사가 적었다. 인재유형별로 ‘기업지원형’은 남을 도와주는 정책 기사에, ‘위기극복형’과 ‘국경관리형’은 코로나19 극복 지원 및 마약 단속 등에 대한 페이지뷰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그는 “테스트 참가자들에게 세관 역할을 알리고 확산하는 효과를 확인했다”며 “일정 기간 운영한 뒤 보완한다면 직원 성격유형을 반영해 인사에 활용할 수도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대전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