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DH 2019년 운영… 한국 유네스코 영향력 커질 것
수정 2017-11-08 02:30
입력 2017-11-07 23:16
등재 기록유산 보존·연구 담당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 제공
지난달 한국은 ‘일본군 위안부 기록물’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하려고 했지만 막대한 분담금을 무기로 유네스코를 압박한 일본의 공세로 뜻을 이루지 못했다. 하지만 ICDH가 설립돼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가면 유네스코 기록유산 업무 전반에서 한국의 영향력이 예전보다 커질 것으로 보인다.
국가기록원 관계자는 “ICDH 유치를 계기로 우리나라가 유네스코 기록유산 관련 연구를 주도할 수 있게 됐다”며 “(등재 여부를 놓고) 일본처럼 분담금으로 압박하는 일차원적 방법과 달리 실질적인 주도권을 쥐게 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국가기록원은 2019년부터 ICDH를 본격 운영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사무국을 비롯해 연면적 8300㎡ 규모의 ICDH 건립 비용(약 260억원)은 충북 청주시가 부담하고 운영 자금(연 10억원 안팎)은 우리 정부가 맡는다. 건립 부지로는 청주고인쇄박물관 일원인 직지 특구와 옛 국가정보원 충북지부 터가 유력하게 거론된다. 유네스코 관계자가 청주를 방문했을 때 예정지 2곳 모두 좋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ICDH 유치가 확정되면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인 직지심체요절(직지)과 직지의 고향 청주가 거듭 주목받고 있다. 직지가 구텐베르크 성경보다 78년이나 앞선 1377년 청주 흥덕사지에서 발간된 세계 최고(最古) 금속활자본이라는 사실이 공인되자 유네스코는 이를 기념해 2004년 ‘유네스코 직지상’을 만들었다.
민나리 기자 mnin1082@seoul.co.kr
2017-11-08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