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젠 도시재생의 시대… 전문가 양성 서둘러야”
수정 2014-07-30 01:56
입력 2014-07-30 00:00
이종수 SH공사 사장
이종수 서울시 SH공사 사장은 29일 “서울 도시재생 사업 전문가 양성을 서둘러야 한다”고 거듭 밝혔다.
SH공사는 택지 개발과 주택 건설을 효과적으로 시행하기 위해 1989년 설립된 서울시 투자기관이다. 이 사장은 “구로구 항동과 강동구 강일지구 개발이 서울의 마지막 대규모 개발사업으로 더 개발할 땅이 없다”며 “결국 시민 주거복지를 위해 도시재생으로 방향을 틀 시점”이라고 덧붙였다.
대규모 개발과 관련해서는 전문가뿐 아니라 노하우도 많지만 도시재생 분야는 그렇지 않다. 그래서 이 사장은 SH 직원들을 도시재생 전문가로 변신시키겠다고 밝혔다. 그는 “평소 직원들에게 공사의 새로운 먹거리는 도시재생밖에 없다고 말했다”면서 “직원 30여명이 참여하는 도시재생 스터디그룹을 만드는 등 전 직원이 도시재생의 기본 지식과 실행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힘쓰고 있다”고 설명했다.
시민 도시재생대학도 구상 중이다. 거창한 게 아니라 도시재생의 의미를 알리고 마을을 꾸준히 발전시킬 모델을 알려 주는 정보센터다. 그는 “새로운 개념의 사업에 대한 낯섦과 어려움에 따른 거부감을 줄이기 위한 거점”이라며 “이를 통해 각 지역과 마을에 맞는 도시재생 방식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공기업의 모든 사업 추정이익률이 2%를 넘도록 획일적으로 규정한 정부의 과도한 규제에도 목소리를 높였다. 이 사장은 마지막으로 “도시재생, 특히 공공 부문에서 어떻게 늘 수익을 올릴 수 있는가”라고 되묻고는 “기반시설을 지원하고 공원과 마을센터를 짓는 등 공공성을 띤 사업엔 이 같은 제한을 없애야 한다”고 끝맺었다.
한준규 기자 hihi@seoul.co.kr
2014-07-30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