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포 중앙도서관, 건립만 남았다
수정 2014-05-01 02:52
입력 2014-05-01 00:00
구의회서 계획안 원안 통과
드디어 안도의 한숨을 내쉬게 됐다. 구의회에서 ‘2014 구유재산관리 기본계획안’, ‘건립기금 운영계획변경 계획안’이 원안 그대로 통과됐다. 30일 박홍섭 마포구청장은 밝게 웃었다. “구민들이 열망하던 중앙도서관 건립 사업이 투·융자 심사, 공유재산 심의, 예산 편성 등 관련된 모든 절차를 마무리 짓고 본격 추진에 들어가게 됐습니다. 곡절을 겪었지만 구청과 의회가 최적의 대안을 찾는 협력의 과정이었다고 생각하고 앞으로 탈 없이 사업을 추진하는 데 온 역량을 쏟아붓겠습니다.”
성산동의 옛 구청사에 마포중앙도서관(조감도)과 청소년교육센터를 짓는 것은 박 구청장이 의욕적으로 추진한 사업이다. 박 구청장은 직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주민들의 교육에 대한 강한 욕구를 많이 읽어냈다. 서울시에서 도서관 규모로 따졌을 때 마포구는 25개 구 가운데 21위에 그쳤다. 이 조건을 뒤집을 카드가 필요했다. 해서 주민여론조사, 설명회 등을 열어 광범위한 의견 수렴에 나섰다. 지난해 4월 지역 내 초·중·고교 학교장과 학부모들로부터 기능과 특색이 고루 배치된 지역 대표 도서관이 있었으면 좋겠다는 의견을 받았다. 지난해 7월엔 구민 1000여명에 대한 여론조사에서 도서관 건립에 대한 찬성 의견이 87%나 나왔다.

400억원대 예산이 들어가고 구의 핵심자산인 옛 청사 부지를 활용하는 사업이라 많은 논쟁이 일었다. 구 차원 사업으론 너무 규모가 크다, 무리하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었다. 박 구청장은 “정부와 서울시로부터 재정지원 약속을 받아냈고, 수익시설 유치 방안도 내놔서 건립, 운영이 그리 어렵지 않을 것이라고 충분히 설명한 데다 도서관 건립 자체를 지역의 축제처럼 여기도록 주민은 물론, 전문가들로부터도 폭넓게 의견을 수렴한 노력이 통했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진행될 설계와 건축 작업에도 미래 이용자들의 의견을 적극 녹이겠다”고 말했다.
조태성 기자 cho1904@seoul.co.kr
2014-05-01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