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사동 유적지서 신석기·삼국시대 유물 1000점 출토

이범수 기자
수정 2016-07-19 23:48
입력 2016-07-19 22:50
주거지 11기서 유구도 나와
서울 강동구가 19일 암사동 유적 발굴현장에서 신석기시대와 삼국시대의 주거지 11기의 유구(遺構)와 옥 장신구 등 유물 1000여점이 나왔다고 밝혔다. 유구는 옛날 토목건축의 구조와 양식을 알 수 있는 자취를 말한다.

조사 시행 기관인 한양대 문화재연구소의 배기동 소장도 “신석기시대 주거지에서 잘 발견되지 않는 옥 장신구가 출토됐다”면서 “선사시대 한강유역의 생계경제뿐만 아니라 예술문화를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옥 장신구 외에도 빗살무늬토기, 어망추 등 신석기시대를 대표하는 유물들이 출토됐다.
이번 조사에서는 주거지 5기 유구와 수혈 유구(구덩이 모양의 집터) 등 삼국시대 초기의 문화 양상을 보여 주는 자료들도 확인됐다. 발굴이 이뤄진 암사동 유적지는 삼국시대 백제 초기의 성인 풍납토성에서 약 2.5㎞ 떨어져 있어 당시 한강변의 자연제방을 따라 집단 거주지가 형성됐었음을 유추해 볼 수 있다.
이해식 구청장은 이날 유적지 일대에서 열린 현장설명회에서 “이번 발굴조사를 토대로 한 10월 국제학술회의에서 암사동 유적의 새로운 가치를 밝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축적된 자료를 바탕으로 주민과 함께 암사동 유적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할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이범수 기자 bulse46@seoul.co.kr
2016-07-20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