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행정] “한끼부터 챙긴다” 흙수저의 복지학

송수연 기자
수정 2017-11-30 22:29
입력 2017-11-30 18:12
용산복지재단 출범 1주년
‘흙수저 신화’ 성장현 구청장 “밥 굶는 사람 없게 할 것”지속 가능한 복지 목표…저소득층 교육·상담 등 진행


최해국 선임기자 seaworld@seoul.co.kr
용산복지재단은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차상위계층이나 위기가정 등을 중점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저소득 청년들 꿈과 희망을 가질 수 있도록 교육 지원뿐만 아니라 심리·상담치료 지원도 하고 있다. 현재까지 확보한 금액은 56억원에 이른다. 지역 내 기업 후원도 이어지고 있을뿐더러 주민의 정기 후원금만 해도 월 3400만원에 달한다. 구는 내년 10억원을 추가 출연할 계획이다.
성 구청장은 ‘퍼주기식 복지’가 아니라 정말로 필요한 사람에게 도움이 갈 수 있도록 복지 체계를 잘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도 강조했다. 성 구청장은 “현재는 지방자치단체들이 내 돈이든 아니든 예산을 확보해서 복지 지원을 한다는 자체가 자랑인데 그러다 보니 불필요한 곳에 재정이 낭비되는 경우도 발생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복지도 수급을 조절하듯 그때 사정에 맞게 필요한 대상과 예산을 조정해야 한다”면서 “지방분권이 확실히 된다면 자기 재정에 맞게, 체급에 맞게 복지 체계를 만들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송수연 기자 songsy@seoul.co.kr
2017-12-01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