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청장실 문 활짝 연 용산, 민원 술술~ 해답도 열렸다 [현장 행정]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장진복 기자
장진복 기자
수정 2023-09-08 02:00
입력 2023-09-08 02:00

현장 소통 나선 박희영 구청장

제1차 ‘먼저 듣겠습니다’ 개최
주민들과 동별 현안 머리 맞대
처리 가능한 사항은 즉시 조치
법령·규정 등 장기적 개선 검토
이미지 확대
지난 4일 서울 용산구청에서 열린 1차 동 현장소통 ‘먼저 듣겠습니다’에서 박희영(오른쪽) 용산구청장이 지역 주요 현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용산구 제공
지난 4일 서울 용산구청에서 열린 1차 동 현장소통 ‘먼저 듣겠습니다’에서 박희영(오른쪽) 용산구청장이 지역 주요 현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용산구 제공
“용산구 안에서 이뤄지는 모든 사업은 구민들의 의견을 녹여 향후 최대 수혜자가 용산구민이 되도록 하겠습니다.”

지난 4일 오전 서울 용산구청 구청장실에 이촌2동 주민 10여명이 모였다. 박희영 용산구청장의 1차 동 현장소통 ‘먼저 듣겠습니다’에 참석하기 위해서다. 주민들과 박 구청장은 주요 지역 현안을 놓고 머리를 맞댔다.

박 구청장은 “이촌2동도 인구가 줄고 있다”며 포문을 연 뒤 “열악한 주거 환경이 원인인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참석자들은 이촌고가차도 비상계단 설치 및 미관 개선, 상가 활성화, 성촌공원 바닥 재정비, 보행로 수목 제거 등 건의 사항을 전달했다. 이에 대해 박 구청장은 구체적인 추진 상황과 계획을 밝혔다.

박 구청장은 “바로 민원이 해결되는 부분도 있고 장기적으로 가야 하는 부분도 있다”며 “법령과 규정에 의해 어려운 부분도 있을 수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안 된다고 해서 숙제가 끝났다고 덮는 게 아니라 찾을 수 있는 방법을 담당 부서, 주민센터와 함께 찾아보겠다”고 말했다.

현장소통에서 제시된 현장 의견은 구정에 반영될 수 있도록 추진된다. 한 참석자는 “쓰레기를 수거하지 않는 날 종량제 봉투를 내놓아 골목이 지저분하다”고 했다. 이에 대해 박 구청장은 “쓰레기 및 재활용 수거 시간을 동별로 파악해 배출 시간과 방법을 전체적으로 고민해 보고 개선할 수 있는 부분이 있는지 찾아보겠다”고 답했다.

이번 1차 동 현장소통은 지난달 29일 후암·용산2가동을 시작으로 7일 한강로·보광동까지 이어졌다. 오전, 오후 1개 동씩 16개 동 주민 10여명이 참석해 90여분간 동별 현안을 논의했다. 공통적으로 주차난 해소, 담배꽁초 전용 수거함 설치, 칼갈이 사업 확대 등에 대한 의견이 제기됐다.

구 관계자는 “건의 사항 중 즉시 처리가 가능한 것은 조치를 완료했으며 예산 반영 및 규정 개정이 필요한 부분은 담당 부서가 해당 사항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구는 다음달 중 2차 동 현장소통을 추진할 예정이다. 1차 동 현장소통이 주민들이 구청장실을 찾는 방식으로 진행됐다면 2차에서는 박 구청장이 16개 동을 찾아 주민들을 만난다.

박 구청장은 “2차 소통은 현장에서 1차 소통 건의 사항 및 올해 사업 추진 성과를 살피고 주민 만족도를 파악하는 시간이 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장진복 기자
2023-09-08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