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직 9급 필기시험 고졸 합격 3.6배 급증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3-10-11 00:22
입력 2013-10-11 00:00

고교 선택과목제 첫해 분석

고졸자를 위해 사회, 과학, 수학 등을 선택과목으로 도입한 국가직 9급 공채시험의 필기시험 합격자 3841명이 발표됐다. 안전행정부는 10일 최종 선발 예정 인원 2738명 대비 140%인 국가직 9급 필기시험 합격자를 발표하고 오는 12월 10~14일 면접을 치른다고 밝혔다.

이미지 확대
선택과목이 도입되면서 처음으로 평균이 아닌 5과목의 총점으로 합격선이 결정됐는데 일반행정의 합격선은 393.54점(500점 만점), 세무직은 372.90점, 검찰사무가 378.83점 등이었다. 총점을 단순 평균해 봤을 때 합격선은 지난해보다 5~10점 떨어졌다.

고교 선택과목 도입으로 관심이 쏠렸던 고등학교 졸업생의 합격은 전년보다 3.6배 늘었다. 전년에는 20세 이하 수험생이 2174명이었으며 이 중 8명이 합격했다. 올해는 20세 이하 수험생 4749명이 응시해 29명이 필기시험을 통과했다.

2개 선택과목을 모두 사회, 과학, 수학과 같은 고교 교과목으로 응시한 수험생은 1만 4750명으로 전체 응시생의 10%를 차지했다. 이 가운데 206명이 필기시험에 합격했다.

합격자의 평균 연령은 28.9세로 지난해 29.3세보다 0.4세 낮아졌다. 최고령 합격자는 1958년생인 55세다. 40세 이상 합격자도 전년보다 6.3% 늘었다. 2012년에는 40세 이상 필기시험 합격자가 107명이었으나 올해는 170명으로 증가했다. 성별을 살펴보면 여성은 응시자의 52%를 차지했으나 여성 합격자 비율은 44.3%로 줄었다. 여성 합격률은 지난해 40.7%보다는 올랐다. 자격증 등으로 가산점을 받은 합격자는 전체의 76.6%였다.

☞<정책·고시·취업>최신 뉴스 보러가기

올해 고교 선택과목 도입으로 가장 크게 바뀐 것은 필수과목인 국어, 영어, 한국사를 제외한 두 개의 선택과목에 부여한 조정점수 제도다. 지방자치단체 가운데 가장 먼저 9급 공채 필기시험 합격자를 발표한 부산시는 원점수와 조정점수 평균을 공개했다가 안행부의 비공개 지침에 따라 삭제했다. 부산시가 일시 공개한 점수표에 따르면 행정학개론을 제외한 모든 선택과목의 조정점수가 원점수보다 상승했다. 사회는 원점수 평균이 43.78점이었으나 조정점수는 85.99점이었고 과학은 원점수 52.76점에 조정점수는 73.14점, 수학은 원점수 61.01점에 조정점수는 68.85점이었다. 반면 행정학개론은 원점수 평균이 70.07점, 조정점수는 66.44점이었다.

한편 고졸의 공직 진출 확대란 선택과목 도입 취지에 대해 안행부 측은 “9급 공무원은 면접생 설문조사에 따르면 평균 수험 기간이 2~3년”이라며 “수험 기간이 늘어나면 고졸의 합격 가능성은 내년부터 더 높아질 것”이라고 밝혔다.

윤창수 기자 geo@seoul.co.kr

2013-10-11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