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대응 패러다임 바뀔까…대구시, 산불 진화 AI 드론 개발 나선다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민경석 기자
민경석 기자
수정 2025-08-03 17:14
입력 2025-08-03 17:14
이미지 확대
산불에 초토화된 민가
산불에 초토화된 민가 경북 의성군 대형 산불 발생 사흘째인 24일 의성군 옥산면 전흥리에서 강풍을 타고 번진 산불이 민가를 덮치고 있다. 2025.3.24. 연합뉴스


대구시가 산불 대응 패러다임을 바꾸기 위한 인공지능(AI) 드론 개발에나선다. 헬기와 폐쇄회로(CC)TV 위주의 산불 진화·감시 체계를 변화시키겠다는 게 궁극적인 목표다.

대구시는 3일 산림청이 주관하는 ‘대형산불 초기 긴급 대응을 위한 AI 군집 드론 연구개발 사업’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국비 40억원을 확보한 대구시는 이달부터 오는 2026년까지 초기 산불 탐지와 진화에 최적화된 AI 군집 드론 기술 개발과 실증에 들어간다. 이후 상용화도 추진할 계획이다.

이번 사업은 지난 3월과 4월 대구와 경북, 경남 등 영남권을 휩쓴 초대형 산불 피해를 계기로 산불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해 긴급 추경 예산을 투입해 마련됐다.

AI 군집 드론 연구개발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가 주관하고 지역 기업인 ㈜무지개연구소와 ㈜그리폰다이나믹스를 비롯해 헬리오센, 볼트라인이 참여한다. 시는 실증 지역 선정과 참여기관 견계 등 사업 수행을 위한 실증 전반을 지원하는 역할을 맡는다.

AI 군집 드론 기술이 도입되면 기존 CCTV 중심의 산불 감시 체계 및 헬기 중심의 산불 진화 방식에서 상시 산불 탐지와 초기 진화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이는 산불의 대형화를 차단하는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는 게 대구시의 설명이다.

이 밖에도 대구시는 이번 사업을 통해 AI 군집 드론 기술이 개발되면 AI 기반 산불 대응체계가 국가 표준으로 자리잡고, 드론 산업 활성화, 지역 고용 창출 등 다양한 파급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내다봤다.

최운백 대구시 미래혁신성장실장은 “앞으로도 대구시가 미래 항공산업의 선두로 나아갈 수 있도록 국가 연구개발 사업 확보를 통해 지역 전문기업 육성에 지속해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대구 민경석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