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키스탄 “최신예 라팔 등 인도 전투기 5대 격추”

윤태희 기자
윤태희 기자
수정 2025-05-07 17:36
입력 2025-05-07 17:36
이미지 확대
7일 인도령 카슈미르 지역에서 전투기 잔해로 추정되는 금속 파편이 널브러져 있다. 출처=소셜미디어
7일 인도령 카슈미르 지역에서 전투기 잔해로 추정되는 금속 파편이 널브러져 있다. 출처=소셜미디어


파키스탄이 인도의 미사일 공습을 받은 뒤 맞대응 과정에서 인도 전투기 5대를 격추했다고 밝혔다고 로이터 통신 등이 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파키스탄군 관계자는 자국군이 격추한 인도 전투기가 라팔 전투기 3대, 수호이(Su)-30MMK 1대, 미그-29 1대라고 주장했다.

특히 라팔은 프랑스가 개발한 4.5세대 전투기로 최신예 기종이다. 최근까지 인도 공군은 라팔 전투기 36대를 보유했고 인도 해군은 주로 러시아제 미그-29 전투기를 운영했다. 인도는 전통적으로 러시아 무기를 들여왔지만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무기 공급 속도가 늦어져 프랑스산 무기 도입을 늘렸다고 알려졌다.

다만 인도는 자국 전투기가 한 대도 손실되지 않았다며 파키스탄 주장은 근거 없는 선전이라고 일축하고 있다.

인도와 파키스탄은 지난달 22일 분쟁지인 인도령 카슈미르 지역에서 총기 테러로 사상자 40여명이 발생한 이후 일촉즉발의 긴장을 이어왔다.

이날 오전 인도는 파키스탄령 카슈미르 지역 내 테러리스트들이 사용하는 기반 시설 등 9곳을 공격하는 ‘신두르 작전’을 개시했다면서 파키스탄 군 시설은 공격 표적이 되지는 않았다고 주장했다.

이에 파키스탄 당국은 인도가 파키스탄령 카슈미르와 펀자브주 등 6곳에 미사일을 발사했다며 이번 일로 어린이를 포함해 민간인 8명이 사망하고 35명이 다쳤으며 2명이 실종 상태라고 밝혔다.

파키스탄군 대변인은 또 자국 전투기 등은 격추되지 않았다면서 두 나라의 사실상 국경선인 실질통제선(LoC) 곳곳에서 교전이 펼쳐지고 있다고 전했다.

다만 전면전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게 전문가들의 일반적인 시각이다. 두 국가 모두 ‘사실상 핵보유국’이라는 점이 오히려 서로에게 부담으로 작용해 일정 수준 이상의 확전을 막는 ‘심리적 억제력’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파키스탄이 현재 심각한 경제난에 시달리고 있다는 점도 쉽사리 전면전에 뛰어들기 어려운 요인으로 꼽힌다.

또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입장에서도 이번 파키스탄과의 무력 충돌을 빨리 마무리한 뒤 미국의 고율 관세 부과에 따른 경제적 충격 회복에 더 신경 써야 할 입장이다. 다만 모디 총리가 이끄는 여당인 인도국민당(BJP)은 지난 총선에서 예상과 달리 단독 과반의석 확보에 실패한 데다 이번 테러로 인해 카슈미르를 관광지로 본격 육성하겠다던 정책도 타격을 입었다. 이에 따라 두 나라가 소규모 포격이나 미사일 공격을 주고받는 상황이 한동안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윤태희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