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러 FPV 드론, 美 ‘50억짜리 하이마스’ 발사차량 파괴 [포착]

윤태희 기자
윤태희 기자
수정 2025-05-08 17:50
입력 2025-05-08 17:36
이미지 확대
러시아군의 FPV 드론이 6일(현지시간) 도네츠크 전선 인근에서 우크라이나군의 고속기동포병로켓시스템(HIMARS·하이마스)을 파괴했다. 출처=루비콘 센터 텔레그램
러시아군의 FPV 드론이 6일(현지시간) 도네츠크 전선 인근에서 우크라이나군의 고속기동포병로켓시스템(HIMARS·하이마스)을 파괴했다. 출처=루비콘 센터 텔레그램


러시아의 일인칭 시점(FPV) 무인기(드론)가 우크라이나의 미국산 고속기동포병로켓시스템(HIMARS·하이마스)을 파괴했다.

러시아 국방부는 7일(현지시간) 소셜미디어에 루비콘 센터의 FPV 드론 조종사가 도네츠크 방향에서 이런 전과를 올렸다고 발표했다.

루비콘 센터는 지난해 10월 창설된 러시아 정예 드론 부대로 정식 명칭은 루비콘 첨단 무인기술센터다.

이 부대는 전날 텔레그램에 도네츠크 전선에서 우크라이나 방향으로 약 30㎞ 떨어진 루신 야르 마을 근처에서 예하 전투단이 적군의 하이마스를 발견하고 파괴했다고 밝혔다.

이미지 확대
우크라이나의 하이마스 발사 차량이 다연장 유도 로켓 최소 두 발을 발사하고 호위 차량과 함께 도로를 따라 이동한다. 이어 러시아 FPV 드론이 하이마스 차량을 추적해 타격하고 이 공격이 성공했다는 것을 시사하듯 표적이 불길에 싸여 연기가 치솟는다. 출처=루비콘 센터 텔레그램
우크라이나의 하이마스 발사 차량이 다연장 유도 로켓 최소 두 발을 발사하고 호위 차량과 함께 도로를 따라 이동한다. 이어 러시아 FPV 드론이 하이마스 차량을 추적해 타격하고 이 공격이 성공했다는 것을 시사하듯 표적이 불길에 싸여 연기가 치솟는다. 출처=루비콘 센터 텔레그램


공개된 영상에는 우크라이나의 하이마스 발사 차량이 다연장 유도 로켓 최소 두 발을 발사하고 호위 차량과 함께 도로를 따라 이동하는 모습이 담겼다.

이어진 장면에는 러시아 FPV 드론이 하이마스 차량을 추적해 타격하고 이 공격이 성공했다는 것을 시사하듯 표적이 불길에 싸여 연기가 치솟는 모습도 담겼다.

만약 영상이 진짜로 확인된다면 2022년 2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시작된 이래 러시아의 FPV 드론이 하이마스 발사 차량 한 대를 파괴한 최초 사례라고 미국 매체 뉴스위크는 짚었다.

친러시아 텔레그램 칼리브레이티드의 공동 운영자인 에이든은 자신의 엑스(옛 트위터)에 우크라이나의 하이마스를 파괴한 것은 1000달러(약 140만원)짜리 ‘광섬유 드론’이라고 썼다.

이는 광케이블을 이용한 유선 조종 자폭 드론으로, 전파 방해가 통하지 않는 데다 기존 무선 드론과 달리 초저공으로 장거리 비행을 할 수 있어 러시아는 물론 우크라이나도 사용하고 있다.

이미지 확대
러시아군은 7일(현지시간) 도네츠크 방향 전선으로부터 약 30㎞ 떨어진 곳에서 자국 드론이 우크라이나군의 하이마스를 발견하고 파괴했다고 밝혔다. 출처=루비콘 센터 텔레그램
러시아군은 7일(현지시간) 도네츠크 방향 전선으로부터 약 30㎞ 떨어진 곳에서 자국 드론이 우크라이나군의 하이마스를 발견하고 파괴했다고 밝혔다. 출처=루비콘 센터 텔레그램


루비콘 센터는 또 추가 게시물에 하이마스를 FPV 드론 ‘VT-40’로 파괴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미지 확대
러시아 FPV 드론 VT-40. 출처=사이클로위키
러시아 FPV 드론 VT-40. 출처=사이클로위키


러시아 의용군 부대인 ‘수도플라토프 대대’가 개발한 이 드론은 무선형의 경우 대형 대전차 RPG 탄두 등의 최대 3.3㎏의 탑재물을 8㎞ 이상 운반할 수 있으며 가격은 대당 550달러(약 76만원)로 알려져 있다.

반면 이런 드론에 파괴된 하이마스 발사 차량은 가격이 대당 350만 달러(약 49억원)다. 유도 로켓 6발을 발사할 수 있는 이 차량에 만일 발사체가 남아 있었다면 피해 금액은 훨씬 커질 수 있다. 여기에 사용될 수 있는 로켓 중 하나인 M31ER은 한 발당 가격이 43만 4000달러(약 6억원)다.

지금까지 하이마스는 러시아의 지휘소나 탄약고뿐 아니라 첨단 대공 미사일 시스템에 상당한 손실을 입혔다는 평가를 받아 왔다. 수십 ㎞ 떨어진 목표물에 대해 로켓을 발사하고 반격을 피하기 위해 신속하게 기동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장에서 드론이 점점 더 많이 운용되면서 이런 장점은 사라질지도 모른다.

윤태희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