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도 연루”…캄보디아 온라인사기 소탕에 3400명 체포 [핫이슈]

윤태희 기자
윤태희 기자
수정 2025-10-16 17:41
입력 2025-10-16 17:41

외교부 “감금 신고 550건 중 470명 구조”…정부, 긴급 대응팀 파견

이미지 확대
캄보디아 경찰에 체포된 중국인 용의자 3명이 신원 확인 절차를 위해 포즈를 취하고 있다. 이들은 지난 8월 깜폿주에서 한국인 박 모 씨를 살해한 혐의와 함께 온라인사기 범죄에 연루된 혐의를 받고 있다. 현지 수사당국은 추가 공범을 추적 중이다. 사진=캄보디아 경찰 제공
캄보디아 경찰에 체포된 중국인 용의자 3명이 신원 확인 절차를 위해 포즈를 취하고 있다. 이들은 지난 8월 깜폿주에서 한국인 박 모 씨를 살해한 혐의와 함께 온라인사기 범죄에 연루된 혐의를 받고 있다. 현지 수사당국은 추가 공범을 추적 중이다. 사진=캄보디아 경찰 제공


캄보디아 당국이 대규모 온라인사기 조직을 단속해 3400명 이상을 체포했다. 이런 가운데 한국인 피해가 심각한 수준으로 드러나면서 정부가 긴급 대응팀을 파견했다.

16일(현지시간) AP통신과 크메르타임스에 따르면 캄보디아 온라인사기 대응위원회(CCOS)는 7월 27일부터 10월 14일까지 수도 프놈펜과 18개 지역에서 합동 단속을 벌여 20개국 출신 3455명을 체포했다.

앞서 현지 매체 프놈펜포스트는 이 가운데 주범과 공범 75명이 재판에 넘겨졌다고 보도했다.

CCOS는 “이번 사건에는 온라인사기뿐 아니라 살인과 인신매매도 포함돼 있다”며 “외국인 여성 476명을 포함한 2825명을 추방했고 인신매매 피해자 다수를 구조했다”고 밝혔다.

단속팀은 92개 거점을 급습해 컴퓨터와 휴대전화, 여권 등 증거물을 확보했으며 수도와 칸달·시아누크빌·깜폿 지역에서 주요 사건 10건을 법원에 넘겼다.

한국인 피해 확산…정부 대응팀 급파
이미지 확대
캄보디아 경찰이 프놈펜과 주요 지방 도시에서 온라인사기 조직을 대대적으로 단속해 외국인 용의자들을 체포하고 있다. 이번 작전으로 20개국 출신 3,400여 명이 검거됐으며, 일부는 재판에 넘겨지고 다수는 본국으로 추방됐다. 사진=캄보디아 경찰청 제공
캄보디아 경찰이 프놈펜과 주요 지방 도시에서 온라인사기 조직을 대대적으로 단속해 외국인 용의자들을 체포하고 있다. 이번 작전으로 20개국 출신 3,400여 명이 검거됐으며, 일부는 재판에 넘겨지고 다수는 본국으로 추방됐다. 사진=캄보디아 경찰청 제공


외교부에 따르면 2024년부터 올해 8월까지 캄보디아에 입국한 뒤 감금·납치 피해 신고가 접수된 한국인은 550명이다. 이 가운데 470명은 구조 또는 귀국이 확인됐지만 80여 명은 여전히 안전이 확인되지 않았다.

정부 당국은 “현재 구금된 60여 명은 단속 과정에서 검거된 피의자들이고 안전이 확인되지 않은 80여 명은 감금 피해나 연락 두절 사례로 파악 중인 별도 집단”이라고 설명했다.

올해 1∼8월 신고 건수는 330건으로 지난해(220건)보다 크게 늘었다.

캄보디아 경찰 단속으로 구금된 한국인 피의자는 약 60명이다. 현지 단속으로 검거된 이들은 구치소에 머물며 일부는 귀국을 거부하고 있다. 정부는 전세기 투입을 포함한 송환 절차를 준비하고 있다.

지난 8월에는 20대 한국인 대학생이 캄보디아 깜폿주에서 고문을 당한 뒤 숨진 사건이 발생했다. 캄보디아 당국은 중국인 3명을 살인과 사기 혐의로 구속기소하고 공범 2명을 추적 중이다.

이미지 확대
김진아 외교부 2차관이 16일(현지시간) 캄보디아 프놈펜 평화궁에서 훈 마넷 총리(사진 비포함)를 예방하고 있다. 김 차관은 구금된 한국인 송환과 양국 간 범죄 대응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캄보디아를 공식 방문했다. EPA 연합뉴스
김진아 외교부 2차관이 16일(현지시간) 캄보디아 프놈펜 평화궁에서 훈 마넷 총리(사진 비포함)를 예방하고 있다. 김 차관은 구금된 한국인 송환과 양국 간 범죄 대응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캄보디아를 공식 방문했다. EPA 연합뉴스


김진아 외교부 2차관이 이끄는 정부합동대응팀은 전날 프놈펜에 도착해 구금 중인 한국인 송환과 피해자 지원 방안을 협의 중이다. 경찰청과 법무부, 국정원 등 관계 기관이 함께 현지에 투입됐다.

캄보디아 경찰 “한국 언론 보도는 오해…공조 지속 중”캄보디아 경찰은 이날 성명을 내고 한국 언론이 보도한 ‘한국인 80여 명 행방불명설’에 대해 “사실과 다소 차이가 있다”고 해명했다.

경찰은 “올해 한국대사관과 피해자 가족의 요청으로 사건 35건에 개입해 한국인 40명을 지원했다”며 “이 안에는 한국 언론이 언급한 80건이 포함돼 있다”고 밝혔다.

경찰은 또 “양국 수사기관이 기술적·법적 절차를 통해 협력하고 있으며 추가 요청에 대해서도 공동 조사를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

프놈펜포스트는 이 성명을 인용해 “캄보디아 경찰이 한국 측의 요청에 따라 사실관계 확인과 수사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전했다.

여행주의보 격상…“캄보디아 방문 신중해야”외교부는 현지 치안 불안에 따라 캄보디아 전역에 특별여행주의보를 발령했다. 프놈펜은 기존 여행자제(2단계)에서 지난 10일 특별여행주의보(2.5단계)로 격상됐다.

캄보디아에는 연간 한국인 약 20만 명이 방문하며 교민도 1만 명에 달한다. 정부는 “여행금지 조치로 전환할 가능성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외교부는 “캄보디아와 고위급 협의를 추진하며 피해자에 대한 영사 조력과 송환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며 “일부는 자발적으로 범죄조직에 가담한 사례도 있어 국내 처벌 절차를 병행하겠다”고 설명했다.

또 “고수익 해외 취업 제안에 현혹돼 캄보디아를 방문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며 국민에게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삼합회 배후설…중국계 조직, 동남아 전역 장악유엔마약범죄사무소(UNODC)와 현지 언론은 캄보디아 등 동남아 온라인사기 배후에 중국계 범죄조직 ‘삼합회’가 깊숙이 개입했다고 지적했다.

삼합회 산하 조직인 ‘14K’와 ‘선이온’은 시아누크빌 등 경제특구를 거점으로 활동하며 카지노와 도박산업에서 온라인사기, 인신매매, 보이스피싱(전화금융사기)으로 범위를 넓혔다.

UNODC는 “시아누크빌과 라오스 북서부 골든트라이앵글 경제특구가 인신매매와 온라인사기의 중심지로 변했다”며 “범죄조직이 약한 규제와 부패한 행정을 악용해 세력을 넓혔다”고 밝혔다.

14K 두목으로 알려진 완 콕코이는 마카오 출신 조직원으로, 2012년 출소 후 동남아 전역에서 불법사업을 확대했다. 미국 재무부는 2020년 완 콕코이와 관련 단체를 제재하며 “캄보디아 고위층 일부가 이들과 결탁했다”고 경고했다.

국제 공조 강화…“초국경 범죄 근절이 핵심”CCOS는 압수한 증거를 분석하며 국제 수사기관과 공조를 이어가고 있다. 위원회는 초국경 범죄조직의 자금 흐름과 네트워크를 추적하며 배후 세력 규명에 주력하고 있다.

캄보디아 정부는 “사이버범죄와 인신매매를 막으려면 국제 협력이 필수적”이라며 “한국 등 여러 나라와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미지 확대
훈 마넷 캄보디아 총리가 16일(현지시간) 프놈펜에서 김진아 외교부 2차관과 회담하고 있다. 김 차관은 구금된 한국인 송환과 양국 간 범죄 대응 협력 강화를 논의하기 위해 캄보디아를 방문했다. AP 연합뉴스
훈 마넷 캄보디아 총리가 16일(현지시간) 프놈펜에서 김진아 외교부 2차관과 회담하고 있다. 김 차관은 구금된 한국인 송환과 양국 간 범죄 대응 협력 강화를 논의하기 위해 캄보디아를 방문했다. AP 연합뉴스


훈 마넷 총리는 지난 7월 사이버범죄 척결 캠페인을 선포하며 9개 대응 지침을 내놨고 각국 정부에 공동 대응을 요청했다.

윤태희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