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미국, 우크라에 F-16 직접 지원?…이송되는 전투기 모습 공개 [포착]

송현서 기자
송현서 기자
수정 2025-05-02 17:42
입력 2025-05-02 17:42
이미지 확대
왼쪽은 지난주 미국 애리조나주 투싼국제공항에서 우크라이나 국적의 대형 수송기에 실리는 F-16 전투기의 모습. 오른쪽은 F-16 전투기 자료사진
왼쪽은 지난주 미국 애리조나주 투싼국제공항에서 우크라이나 국적의 대형 수송기에 실리는 F-16 전투기의 모습. 오른쪽은 F-16 전투기 자료사진


미국의 F-16 전투기가 폴란드로 이송되는 모습이 공개됐다. 일각에서는 미국이 폴란드를 거쳐 우크라이나에 F-16 전투기의 핵심 부품을 전달한 것으로 보인다는 추측을 내놓았다.

미국 매체 더워존은 “미국 애리조나주(州)에서 우크라이나 대형 수송기에 실려 출발하는 F-16 전투기의 사진이 유포되기 시작했다”고 보도했다.

엑스 등 SNS를 통해 유포된 사진은 F-16이 애리조나주 투싼국제공항에서 대형 수송기 An-124에 실리는 모습을 담고 있다. 전투기 위로 흰색 천이 씌워져 있으나, 전투기의 날개와 꼬리, 엔진 등은 실리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지 확대
지난주 미국 애리조나주 투싼국제공항에서 우크라이나 국적의 대형 수송기에 실리는 F-16 전투기의 모습. 엑스(@Keystone Intel) 캡처
지난주 미국 애리조나주 투싼국제공항에서 우크라이나 국적의 대형 수송기에 실리는 F-16 전투기의 모습. 엑스(@Keystone Intel) 캡처


더워존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국적의 대형 수송기 An-124는 지난달 24일 애리조나주에 도착했다. 이틀 후인 26일 이 대형 수송기는 엔진 등 일부 부품을 해체한 F-16 전투기를 싣고 폴란드 제슈프-야시온카공항을 향해 이륙했다. 이 공항은 서방에서 우크라이나로 공급되는 군수품의 주요 환승 허브다.

더불어 우크라이나의 대형 수송기가 F-16을 싣고 이륙한 애리조나주 투싼국제공항은 미국 항공기 폐기장이 있는 곳이다. 이러한 사실을 고려했을 때, 공개된 사진들은 미국이 폐기장으로 향할 F-16 전투기에서 아직 쓸 만한 기체 부품을 우크라이나에 공급하는 작전을 담은 것으로 추측된다.

이미지 확대
지난주 미국 애리조나주 투싼국제공항에서 우크라이나 국적의 대형 수송기에 실리는 F-16 전투기의 모습. 엑스(@Keystone Intel) 캡처
지난주 미국 애리조나주 투싼국제공항에서 우크라이나 국적의 대형 수송기에 실리는 F-16 전투기의 모습. 엑스(@Keystone Intel) 캡처


이미지 확대
지난주 미국 애리조나주 투싼국제공항에서 우크라이나 국적의 대형 수송기에 실리는 F-16 전투기의 모습. 엑스(@Keystone Intel) 캡처
지난주 미국 애리조나주 투싼국제공항에서 우크라이나 국적의 대형 수송기에 실리는 F-16 전투기의 모습. 엑스(@Keystone Intel) 캡처


더워존은 “미국이 제공한 (일부 부품을 제외한) F-16 기체가 비행 가능한 전투기 수에 추가되진 않을 것”이라면서도 “이번 작전은 우크라이나의 공군 전력을 지원하는데 상당한 도움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예비부품 부족으로 벨기에 등 유럽 동맹국이 우크라이나에 전투기 추가로 인도하는 계획이 지연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고 덧붙였다.

지난해 가을 기준, 미 국방부 항공기 폐기장에 있는 F-16은 F-16A 150대, F-16C 143대 등 340여 대에 달한다. 미국은 이중 일부의 부품을 우크라이나가 운용 중인 F-16의 예비부품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허가한 게 아니냐는 추측이 나온다.

이미지 확대
2025년 2월 17일, 우크라이나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 지역에서 러시아 군 기지를 공격한 것으로 알려진 우크라이나 공군 F-16 전투기가 저고도로 복귀하고 있다. 게티 이미지 / 멀티비츠
2025년 2월 17일, 우크라이나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 지역에서 러시아 군 기지를 공격한 것으로 알려진 우크라이나 공군 F-16 전투기가 저고도로 복귀하고 있다. 게티 이미지 / 멀티비츠


더워존은 “F-16이 꾸준히 우크라이나로 인도되고, 우크라이나군 내에서 F-16의 의존도가 더욱 높아짐에 따라 전투기의 임부 범위가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면서 “다만 모든 종료의 전투기를 작전 운용 상태로 유지하는 것은 매우 큰 과제”라고 진단했다.

이어 “우크라이나는 옛 소련의 장비와는 여러 면에서 다른 새로운 서방 전투기를 신속하게 도입해야 하는 과제에 직면해 있다”면서 “이러한 이유로 미국의 잉여 F-16 기체 공급은 우크라이나 공군에게 매우 환영받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미국은 재고 부족을 이유로 직접 F-16을 제공하지 않았지만, 덴마크, 네덜란드 등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회원국의 F-16 우크라이나 이전을 승인했고, 조종사 훈련 프로그램 등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송현서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