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러 전투기-미 해상초계기 근접 비행 대치…‘첨단 레이더’ 선명 [포착]

송현서 기자
송현서 기자
수정 2025-08-28 17:27
입력 2025-08-28 17:27
이미지 확대
미 해군 해상초계기 P-8A 포세이돈 동체 아래 장착된 능동형 전자주사식 위상배열 레이더(AESA) 계열인 AN/APS-154 첨단공중센서(AAS)의 모습
미 해군 해상초계기 P-8A 포세이돈 동체 아래 장착된 능동형 전자주사식 위상배열 레이더(AESA) 계열인 AN/APS-154 첨단공중센서(AAS)의 모습


러시아 공군 전투기와 미 해군 해 초계기가 근접해 대치하는 과정에서 첨단공중센서의 모습이 노출됐다.

미 군사 전문 매체 더워존은 27일(현지시간) “러시아 전투기 조종석에서 촬영된 미 해군 해상초계기 P-8A 포세이돈의 모습이 공개됐다”고 보도했다.

이미지 확대
지난 26일(현지시간) 러시아 Su-30 또는 Su-35S로 추정되는 전투기 바로 옆으로 해군 해상초계기 P-8A 포세이돈이 비행하고 있다. 더워존 제공
지난 26일(현지시간) 러시아 Su-30 또는 Su-35S로 추정되는 전투기 바로 옆으로 해군 해상초계기 P-8A 포세이돈이 비행하고 있다. 더워존 제공


이미지 확대
지난 26일(현지시간) 미 해군 해상초계기 P-8A 포세이돈의 비행 경로
지난 26일(현지시간) 미 해군 해상초계기 P-8A 포세이돈의 비행 경로


친러시아 군사 블로거 ‘파이터바머’ 텔레그램 채널에 처음 공개된 영상을 보면 전날 러시아 Su-30 또는 Su-35S로 추정되는 전투기 바로 옆으로 미군 해상초계기 P-8A 포세이돈이 비행하고 있다.

영상 속 미 해상초계기는 이날 흑해 상공에서 정찰 임무를 수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비행추적 데이터를 보면 이탈리아 시고넬라 해군 비행장에서 이륙한 P-8A 항공기가 4시간 동안 흑해 위를 비행했다. 비행경로에는 러시아 영공에서 약 50해리 떨어진 흑해 도시 소치 인근도 포함돼 있다.

미 해상초계기에 장착된 레이더 시스템 포착더워존은 이번 영상에서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이 P-8A 동체 아래에 장착된 능동형 전자주사식 위상배열 레이더(AESA) 계열인 AN/APS-154 첨단공중센서(AAS)라고 설명했다.

능동형 전자주사식 위상배열 레이더는 다수의 소형 송수신 모듈(T/R 모듈)이 독립적으로 전파를 발생하고 수신하여, 빔의 방향을 기계적 움직임 없이 전자적으로 빠르게 조정할 수 있는 첨단 레이더 시스템이다.

이미지 확대
미 해군 해상초계기 P-8A 포세이돈 동체 아래 장착된 능동형 전자주사식 위상배열 레이더(AESA) 계열인 AN/APS-154 첨단공중센서(AAS)의 모습
미 해군 해상초계기 P-8A 포세이돈 동체 아래 장착된 능동형 전자주사식 위상배열 레이더(AESA) 계열인 AN/APS-154 첨단공중센서(AAS)의 모습


고속으로 움직이는 표적 탐지와 다중 목표 동시 추적이 가능하며 기존 회전식 레이더보다 탐지 정확도, 신뢰성, 탐지 거리, 저항성(재밍 저항 능력)이 뛰어나다고 알려져 있다.

P-8A 포세이돈 등 여러 미 해상초계기에는 이러한 레이더가 탑재돼 있으며 잠수함 탐지, 해상 및 공중 표적 모니터링에 중요한 임무를 수행한다.

더워존은 “흑해에서 정찰 중인 해상초계기에서 이 레이더 시스템이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면서 “일반적으로 이 레이더 안테나는 항공기 동체 아래에 접힌 상태로 고정돼 있기 때문에 영상에서처럼 안테나가 확장된 모습이 포착되는 일은 매우 드물다”고 설명했다.

이미지 확대
지난 4월 비행 임무를 마치고 돌아온 미 해군 해상초계기 P-8A 포세이돈 자료사진
지난 4월 비행 임무를 마치고 돌아온 미 해군 해상초계기 P-8A 포세이돈 자료사진


이어 “이번 영상은 비행 중 레이더 시스템이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보여주는 매우 중요한 자료”라면서 “비행 중 레이더 포드를 동체보다 훨씬 아래쪽으로 확장함으로써 레이더의 시야가 P-8의 두 엔진에 가려지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흑해서 나토와 러시아 간 군사적 긴장 갈수록 고조2022년 2월 우크라이나 전쟁 개전 이후 군사 요충지가 된 흑해 일대에서는 크고 작은 충돌이 이어졌다.

2023년 3월 러시아 전투기와 미국 무인기가 흑해 상공에서 충돌하면서 나토와 러시아 간의 군사적 긴장이 고조됐다.

이미지 확대
2023년 12 월우크라이나 흑해에서 러시아군이 설치한 해상 기뢰와 충돌한 파마나 국적의 곡물운반선. AFP 연합뉴스
2023년 12 월우크라이나 흑해에서 러시아군이 설치한 해상 기뢰와 충돌한 파마나 국적의 곡물운반선. AFP 연합뉴스


우크라이나는 개전 이후 꾸준히 러시아 흑해 함대를 노린 군사 작전을 펼쳐 왔다. 해상 드론 작전으로 러시아군 흑해 함대 20여 척을 파괴하며 큰 전과를 올렸다.

특히 러시아가 강제 병합한 크림반도 세바스토폴 근처에서 대규모 공격을 감행한 결과 러시아 흑해 함대는 세바스토폴항에서 멀리 분산 배치되는 등 전술적 후퇴를 겪었다.

이에 대응해 러시아는 흑해를 지나는 곡물 운반선이 우크라이나군을 위한 무기를 운반할 가능성을 언급하며 강하게 통제했다. 2023년 12월 우크라이나 남부 방위군은 이날 파나마 국기를 단 곡물 선박이 러시아가 흑해에 설치한 기뢰와 충돌하면서 2명이 부상했다고 밝혔다.

이처럼 흑해는 지리적, 전략적 중요성으로 인해 나토와 러시아 간 군사적 충돌이 우발적으로 또는 계획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지역으로 꼽힌다. 이에 나토는 해상초계기 등을 통한 정보 수집과 감시 활동에 주력하고 있다.

송현서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