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안에서 가야문화권 최초 ‘소’ 모양 상형토기 출토

이창언 기자
수정 2024-03-13 17:30
입력 2024-03-13 17:30
함안고등학교 개축 터에서 출토
사선문 새겨져 있고 입체감 돋보여
군 “학술 가치 높은 것으로 판단”
경남 함안군 함안고등학교 개축공사 예정 터에서 가야문화권 최초로 소 모양 상형토기가 발견됐다.13일 (재)바른문화유산연구원은 문화재청 허가를 받아 발굴조사를 진행해 삼국시대 주거양식인 수혈(구덩이) 13기, 구(도랑) 3기, 주혈(움집터 바닥에 기둥을 세우기 위해 파 놓은 구멍) 30여기 등 옛날 토목건축 구조와 양식을 알 수 있는 자취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또 고배(高杯·굽다리접시), 호(壺·병), 소옹(小瓮·작은 독), 개(蓋·뚜껑), 상형토기 등 유물이 출토됐다고 말했다.

이 토기 등 부분에는 뿔잔이 부착돼 있고 소 머리 부분은 눈·코·입·턱 등이 상세히 나타나 있다. 뿔잔·몸·엉덩이·이마·얼굴 등에 사선문 또는 격자문이 새겨져 있고, 엉덩이와 꼬리 등 전체적인 입체감도 돋보인다. 다리는 모두 빠져 없는 상태로 출토됐다.

함안군은 소를 형상화한 상형토기는 가야문화권에서 처음 확인된 것이라 설명했다. 또 신라 문화권 토우나 토용의 사례도 많지 않아 학술 가치가 높은 것으로 봤다.
함안고등학교 터 남쪽에는 말이산고분군, 서쪽에는 아라가야 왕궁지로 추정되는 함안 가야리유적과 함안공원 충의공원 유적이 있다. 이번 발굴조사로 주변 일대는 삼국시대 생활유적이 넓게 분포하고 있었음이 증명됐다.
함안군 관계자는 “향후 원형 보존유적인 충의공원 유적과 연계해 종합적 보호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함안 이창언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