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창원 마산만에 올해도 정어리떼…폐사체 210㎏ 수거

이창언 기자
수정 2024-10-14 15:12
입력 2024-10-14 15:12
마산해양신도시 인근서 폐사체 수거
시, 정어리 떼 흩뜨리는 작업 진행
경남 창원시 마산 앞바다 일원에 올해도 정어리떼가 출현해 행정당국이 조치에 나섰다.창원시 마산합포구는 지난 11일 3·15 해양누리공원 앞 마산만에 정어리 떼가 출현했다고 13일 밝혔다.

구는 마산만 일원에 어선을 운항하며 떼로 나타난 정어리 떼를 흩뜨리는 작업을 벌였다. 구는 산소 소비량이 많은 정어리가 무리를 지어 다닐 경우 산소 부족으로 대량 폐사로 이어질 수 있다고 보고 정어리 떼 소산에 나섰다고 설명했다.
마산해양신도시 앞쪽에서는 소량의 정어리 폐사체 수거 작업도 진행했다. 수거량은 11일 10㎏, 12일 150㎏, 13일 50㎏가량이다.
지난 2년 ‘마산만 정어리 집단폐사’로 피해를 본 창원시는 올가을 집단폐사 재발을 막고자 총력 대응하고 있다.
앞서 시는 6월 ‘정어리 집단폐사 재발 대응 대책’을 수립했고, 이에 따른 세부 시행계획을 3단계로 나눠 추진하고 있다. 1단계는 징후감지 단계다. 정어리 발생 동향과 어획량 등을 상시 감시하는 게 핵심이다. 2단계는 초기대응 단계로 살아있는 상태 정어리를 최대한 포획해 건제품·생사료로 자원화하는 단계다. 폐사 발생 때 시행하는 3단계는 신속 수거로, 시는 3단계로 넘어가지 않도록 2단계 이행에 집중하고 있다.
시는 이달 말 개최될 예정인 마산가고파국화축제 진행에 차질이 없도록 정어리 떼 움직임을 지속해 살핀다는 방침이다.
2022년과 2023년 마산 앞바다에서는 정어리 집단폐사가 발생했다. 집단폐사 규모는 2022년 226톤, 지난해 46톤으로 집계됐다.
국립수산과학원은 집단폐사 원인을 ‘산소부족에 의한 질식사’라고 결론 냈었다. 산소 소비량이 많은 정어리가 산소부족 물 덩어리가 있는 반 폐쇄성 해역에 대량으로 들어와 산소부족으로 질식사해 집단폐사 했다는 설명이다.
창원 이창언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