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하천 승격한 밀양 단장천·동창천 국가에서 관리한다

이창언 기자
수정 2025-01-03 17:21
입력 2025-01-03 17:21
경남 밀양 단장천·동창천을 국가가 관리한다.
경남도는 두 하천이 지방하천에서 국가하천으로 승격됐다고 3일 밝혔다. 경남 국가하천은 14곳으로 늘었다.
환경부는 지난해 2월 하천법상 국가하천 요건을 충족하는 지방하천 20곳을 국가하천으로 선정·고시했다.
경남 밀양 단장천. 2025.1.3. 밀양시청 블로그 갈무리
경남에서는 지난해 10월 창원천이 국가하천으로 지정된 데 이어 새해 단장천·동창천이 국가하천으로 승격됐다.
경남도와 낙동강유역환경청은 하천시설물, 하천점용허가 등 인계인수 절차를 지난 연말까지 모두 마쳤다.
국가하천이 된 단장천·동창천은 홍수예방 능력이 강화된다. 지방하천은 80년 빈도 강우량을 기준으로 설계하지만, 국가하천은 100년 빈도 강우량을 기준으로 삼는다. 또 하천 정비와 유지 관리비를 국가가 부담하면서 1710억원에 달하는 재정 절감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낙동강청은 홍수 안전성 확보, 하천 자연성 보전, 친환경적 하천 공간 조성 등을 담은 국가하천 기본계획을 수립 중이다. 하천 정비와 유지보수에 필요한 예산도 확보했다.
경남 지방하천은 670여 곳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다. 하천 연장은 전국 두 번째인 3674㎞에 달한다.
민기식 경남도 환경산림국장은 “최근 이상 기후로 지방하천 홍수 피해가 갈수록 커지고 있으나 열악한 지방재정으로 하천정비사업 추진에 한계가 있었다”며 “이번 승격으로 국가 예산이 집중 투입된다면 도민 재산과 생명을 더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리라 본다”고 밝혔다.
밀양 이창언 기자
경남도는 두 하천이 지방하천에서 국가하천으로 승격됐다고 3일 밝혔다. 경남 국가하천은 14곳으로 늘었다.
환경부는 지난해 2월 하천법상 국가하천 요건을 충족하는 지방하천 20곳을 국가하천으로 선정·고시했다.
경남에서는 지난해 10월 창원천이 국가하천으로 지정된 데 이어 새해 단장천·동창천이 국가하천으로 승격됐다.
경남도와 낙동강유역환경청은 하천시설물, 하천점용허가 등 인계인수 절차를 지난 연말까지 모두 마쳤다.
국가하천이 된 단장천·동창천은 홍수예방 능력이 강화된다. 지방하천은 80년 빈도 강우량을 기준으로 설계하지만, 국가하천은 100년 빈도 강우량을 기준으로 삼는다. 또 하천 정비와 유지 관리비를 국가가 부담하면서 1710억원에 달하는 재정 절감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낙동강청은 홍수 안전성 확보, 하천 자연성 보전, 친환경적 하천 공간 조성 등을 담은 국가하천 기본계획을 수립 중이다. 하천 정비와 유지보수에 필요한 예산도 확보했다.
경남 지방하천은 670여 곳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다. 하천 연장은 전국 두 번째인 3674㎞에 달한다.
민기식 경남도 환경산림국장은 “최근 이상 기후로 지방하천 홍수 피해가 갈수록 커지고 있으나 열악한 지방재정으로 하천정비사업 추진에 한계가 있었다”며 “이번 승격으로 국가 예산이 집중 투입된다면 도민 재산과 생명을 더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리라 본다”고 밝혔다.
밀양 이창언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