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재~고양 지하고속도로 2027년 착공 무난할 듯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한상봉 기자
한상봉 기자
수정 2023-11-03 00:33
입력 2023-11-03 00:33

전략환경영향평가 초안 긍정적
공사해도 동식물 직접 영향 미미
내주부터 설명회 29일까지 공람

양재~고양 지하고속도로 건설사업에서 민자적격성조사와 함께 가장 큰 난제인 전략환경영향평가(초안) 결과가 긍정적인 것으로 조사돼 2027년 착공이 무난할 전망이다.

2일 서울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국토교통부는 최근 양재~고양 고속도로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을 관련 자치단체에 보내 주민설명회를 거치도록 했다.

관련 행정기관에서는 지난달 23일부터 오는 29일까지 주민들에게 공람하고 다음 주부터 주민설명회를 할 예정이다. 국토부가 공개한 초안을 보면 고속도로 건설이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극히 적은 것으로 평가됐다.

초안에 따르면 2가지 대안 노선에 서식 중인 육상동물은 포유류 14종, 조류 42종, 양서 및 파충류 18종 등이 있으나 굴착 등 공사를 하더라도 활동영역 변경이 거의 없어 일시적으로 주변 경작지 또는 산림으로 이동 회피할 것으로 예측됐다. 육상식물들도 산림식생 훼손이 적어 별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법정보호종으로는 긴병꽃풀이 난지수변생태공원에서 확인됐으나 직접적인 영향이 없다는 결론이 나왔다. 백두대간 및 정맥에 미치는 영향도 미미한 것으로 나왔다. 남측 약 1.7㎞ 지점에 관악지맥이 있으나 미치는 영향이 적다는 것이다. 그러나 건설 과정에서 예상되는 소음은 대안1노선 25곳에서, 대안2노선 34곳에서 기준치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돼 방음판넬 설치 등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이에 따라 전략환경영향평가 최종본에서도 크게 수정되지 않는 한 2027년 착공이 가능할 전망이다.

이 고속도로가 완공되면 상습 정체구간인 자유로~강변북로~양재나들목(IC) 구간의 교통 편의가 대폭 개선될 전망이다. 고양시에서 서울 양재까지 30분대 통행이 가능해진다. 자유로는 고양시민의 서울방면 출·퇴근 일일 교통량이 약 20만대로 전국에서 교통량이 가장 많은 도로 중 하나다.

한편 고양시는 국토부 및 민간사업시행자인 GS건설과 협의해 양재~고양 고속도로 끝 지점인 가양대교(현천JC)에서 15㎞ 떨어진 일산서구 이산포나들목까지 지하로 연장하는 것을 추진할 계획이다.

한상봉 기자
2023-11-03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