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청항노화엑스포 행정 엇박자… 약속보다 적은 자원봉사비 씁쓸

이창언 기자
수정 2023-11-17 00:01
입력 2023-11-17 00:01
조직위·축제관광재단 소통 부재
무료 한방 ‘혜민서’ 600여명 활동
중식비용 계산 엇갈려 축소 지급
“신뢰 하락”… 재단 “재지급 검토”

서울신문DB
16일 서울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지난 9월 15일~10월 19일 치른 엑스포에서는 경남한의사회와 자원봉사자들이 주도한 ‘혜민서’가 부대 행사로 열렸다. 무료 한방 서비스를 제공하는 행사다. 올해는 6만 3000여명이 찾았다. 혜민서 운영에는 자원봉사자 600여명의 역할이 컸다. 봉사자들은 진료 보조와 동선관리 등을 맡았다.
문제는 정산된 금액이다. 조직위 명의로 낸 자원봉사자 모집 공고를 보면 ‘일 실비 3만 2000원, 중식 제공’이라 돼 있다. 자원봉사자 모집을 대행한 경남한의사회는 실비에 중식비 8000원이 포함된 점을 확인했다. 실제 실비는 2만원대에 불과해 봉사자 모집이 어려울 수 있어 특별수당 1만원을 지급하자고 조직위에 제안했다. 재단이 특별수당 1만원을 지급하기로 했다.
특별수당 1만원 지급 합의 전 한의사회는 엑스포 주변 식당 밥값(1만 1000원~1만 6000원)을 고려해 한의사 앞으로 책정된 식비 2만원과 자원봉사자 특별수당을 합치고 한의사·자원봉사자들이 식당을 이용하게 하자고 제안했다. 재단은 특별수당을 개별 지급하지 않고 중식비로 491만원을 썼다.

독자 제공
조직위는 “규정상 실비에 중식비가 포함됐는데 봉사자들이 특별수당으로 중식을 해결했다”며 “조직위는 중식비를 제외한 실비 2만 4000원을 주고 재단은 특별수당 1만원을 현금으로 주는 게 맞을 듯한데 중간에서 꼬였다”고 말했다. 재단은 “실비에 중식비가 포함됐는지 몰랐다”며 “조직위와 재지급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했다.
조직위와 재단의 소통 부재 등으로 자원봉사자만 피해를 봤다. 더군다나 조직위 모집 공고에는 ‘실비 3만 2000원(중식비 포함)’이라고 명확히 표기하지 않아 혼란을 키웠다.
봉사에 참여했던 A씨는 “좋은 취지로 봉사했기에 금액이 적고 많고를 따지지는 않겠지만 행정 신뢰가 무너진 건 문제가 있다”며 “허술한 행정, 선뜻 이해할 수 없는 해명에 황당하다”고 했다. 경남한의사회는 “하루 평균 20명이 8시간가량 봉사했다”며 “좋은 취지로 행사를 잘 치러놓고 뒷말이 나와 안타깝다”고 했다.
산청 이창언 기자
2023-11-17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