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7대책 후 서울 아파트 ‘9억 이하’, ‘하락거래’ 비중 늘어

김기중 기자
수정 2025-08-11 15:39
입력 2025-08-11 15:39

6·27 대출 규제 이후 거래 신고된 서울 아파트의 절반 이상이 9억원 이하 아파트였다. 과열했던 시장이 냉각하면서 원래 가격보다 낮춘 가격으로 거래되는 ‘하락거래’ 비중도 늘었다.
11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시스템에 따르면 6·27대책 이후 지난 10일까지 43일간 신고된 서울 아파트 유효 거래량은 모두 4646건이었다. 이 중 9억원 이하 거래가 49.5%(2052건)에 달했다. 대출 규제 직전 43일간 신고된 1만 4528건 가운데 9억원 이하 거래 비중이 37.7%(5473건)였던 것과 비교해 비중이 11.8%포인트 확대됐다.
9억원 이하 아파트 거래 비중이 커진 것은 6·27 대출 규제로 수도권의 주택담보대출이 6억원으로 제한된 영향이 크다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실제로 6억원 이하 아파트 거래 비중이 대출 규제 전 14.7%에서 대출 규제 후 22.8%로 8.1%가 늘어 가장 큰 폭의 증가를 기록했다. 6억원 초과∼9억원 이하는 대출 규제 전 23.0%에서 규제 후 26.8%로 3.8%포인트 커졌다.
반면 9억원 초과∼15억원 이하 비중은 대출 규제 전 43일간 34.7%에서 대출 규제 후 28.6%로 6%포인트 가량 비중이 축소됐다.
6·27대책 이후 전국적으로 아파트 하락 거래 비중은 커졌다. 부동산 플랫폼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달 전국 아파트 상승거래 비중은 44.4%로 전월(46.5%) 대비 2.1%포인트 하락했다. 같은 기간 하락 거래 비중은 38.4%에서 41.8%로 3.4%포인트 증가하면서 상승 거래는 줄고 하락 거래가 늘어나는 이른바 ‘하락 전환’ 흐름이 확인됐다.
특히 서울은 상승 거래 비중이 53.2%에서 51.1%로 감소한 반면, 하락 거래 비중은 30.4%에서 34.0%로 증가했다. 경기도는 상승 거래가 46.0%에서 43.2%로 줄었고, 하락 거래는 37.1%에서 40.6%로 늘었다.
특히 대통령 집무실과 국회 이전 등 정치 이슈 영향으로 한때 가격 상승세가 가팔랐던 세종시는 7월 상승 거래 비중이 전월 대비 7.2%포인트 낮아진 41.7%, 하락 거래 비중이 무려 9.9%포인트 증가한 45.2%를 각각 기록해 하락 전환 폭이 컸다. 직방 관계자는 “행정수도 이전 관련 후속 추진이나 구체적 실행이 가시화되지 않으며 매수세가 다소 진정된 결과”라고 했다.
김기중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