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직접 전쟁 일으키나…“항모 보내고 2만 병력 결집” 비상 [핫이슈]

송현서 기자
수정 2025-11-09 10:09
입력 2025-11-09 10:09
미국이 베네수엘라를 겨냥해 병력 약 2만 명과 항공모함을 베네수엘라 인근에 집결시키면서 전면 침공이 임박한 것 아니냐는 우려를 낳고 있다.
워싱턴포스트에 따르면, 최근 미 해군 최신예 항모인 제럴드 R. 포드함과 항모전단이 지난주 이탈리아 반도 인근 아드리아해를 떠나 카리브해로 향했다. 포드함은 대서양을 거쳐 오는 10일 전후로 작전구역인 카리브해에 도착할 것으로 예상된다.
제럴드 R. 포드함에는 승조원 5000명과 F/A-18와 F-35C 등 75~90대의 전투기와, 정찰기·지원기 등이 함재돼 있다.
현재 카리브해에는 미 해군의 제이슨 던햄함을 비롯한 구축함 8척, 강습상륙함 이오지마함과 핵추진 공격잠수함 뉴포트뉴스함 각각 1척 등 모두 15척과 승조원 약 6000명이 배치된 것으로 파악된다.
더불어 육군·공군·해병대의 항공 전력인 B-1B와 B-52, 특수전 항공기 AC-130J, 스텔스 전투기 F-35, 무인공격기 MQ-9 리퍼 등 11대와 병력 약 1만 명도 해당 지역에 배치돼 있다.
여기에 워싱턴포스트가 언급한 포드급 항모와 병력을 더하면 지난달 1만 명 수준이던 배치 병력이 약 한 달 새 2만 명까지 급증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 상황을 두고 일각에서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니콜라스 마두로 베네수엘라 대통령 정권을 축출하기 위한 작전이 초읽기에 들어갔다는 분석을 내놓는다.
마약 운반선 공습부터 미 항모전단 등장까지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9월부터 베네수엘라 선박 일부를 마약 운반선이라고 규정하고 공습하기 시작했다. 미군은 현재까지 12차례 이상 ‘마약 운반선’을 공습했고 이 과정에서 최소 66명이 사망했다.
당시 국제사회는 미국의 군사 작전이 마두로 대통령을 압박하기 위한 수단에 불과하다고 판단했지만 미 항모전단이 전면에 배치되면서 기류는 달라졌다.
라이언 버그 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미주 지역 연구원은 로이터에 “미군의 카리브해 전력 배치는 마약 단속 작전에 필요한 수준을 훨씬 넘어섰다”며 “애초에 임무가 ‘진화하도록’ 설계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더불어 미국이 2004년 폐쇄한 푸에르토리코의 루스벨트 로즈 해군기지를 11년 만에 재가동한 점도 트럼프 대통령이 단순히 ‘베네수엘라 겁주기’를 뛰어넘어 전면 침공을 고려하고 있다는 추측이 나오게 했다.
로이터 통신은 “위성사진 분석 결과 로즈 해군기지에서 유도로 개선뿐 아니라 항공관제와 이동식 감시 장비의 설치가 이뤄지고 있다”며 “푸에르토리코의 라파엘 에르난데스 공항에서도 비슷한 변화가 포착되는데 이는 군용기의 대규모 이·착륙을 준비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정비와 훈련에 들어간 항모를 빼면) 전 세계에 동시 운용되는 미 항모는 3척 정도”라며 “결단의 시간이 약 한 달간의 카운트다운에 돌입했다”고 내다봤다.
오락가락하는 트럼프, 최종 목표는?미국의 베네수엘라 전면 침공이 카운트다운에 돌입했다는 일부 분석에도 트럼프 대통령의 최종 목표는 여전히 뚜렷하지 않다.
지난달 29일 트럼프 대통령은 기자들에게 베네수엘라 군사 옵션과 관련해 “육상(land)이 다음 번 폭격 대상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불과 이틀 뒤에는 베네수엘라 육상 공격을 고려하고 있느냐는 질문에 “노(no)”라고 답했다.
지난 2일 방영된 CBS 방송의 ‘60분’ 인터뷰에서도 베네수엘라와 전쟁하는 것이냐는 질문에는 “아니다”라고 답했으나, 마두로 통치 기간이 얼마 안 남은 것이냐는 질문에는 “그렇다”고 답했다.
앵커가 “베네수엘라를 폭격하려는 게 사실이냐”고 재차 묻자, 트럼프 대통령은 “그렇다, 그렇지 않다 답하지 않겠다”며 의중을 알 수 없는 답변만 내놓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베네수엘라 마약 운반선에 대한 공습만으로는 마두로 정권을 축출하기 어렵다고 판단하면서도, 전면 침공이 마두로를 몰아내는 데 성공하지 못할 가능성과 미군 희생이 속출할 수 있다는 우려로 본격적인 육상 폭격 작전 승인을 망설이고 있다는 분석도 있다.
뉴욕타임스는 “트럼프 행정부는 군사력 집결의 최종 목표가 ‘정권 교체’인지, 압박을 통해 석유 매장량이 세계 최대인 베네수엘라의 경제적 이익 확보와 마약 유통 단절이라는 ‘양보’를 얻어내기 위한 것인지도 결정하지 못했다”고 보도했다.
내년 노벨 평화상 수상을 꿈꾸는 트럼프 대통령의 선택에 전 세계의 관심이 집중된 가운데, 애너 켈리 백악관 부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은 불법 마약을 밀수하는 (베네수엘라의) 마약 테러범에 대한 공격을 계속할 것임을 분명히 밝혔고, 나머지는 모두 추측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송현서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