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아가고 쉬어가고… AI는 모르는 음악 여행

이은주 기자
수정 2025-08-26 00:41
입력 2025-08-26 00:41
솔로 앨범 ‘여행자’로 돌아온 싱어송라이터 권순관

“인공지능(AI) 시대에도 깊이 있는 음악에 대한 갈증은 분명히 존재한다고 봅니다.”
권순관은 대중음악 황금기인 1990년대 발라드의 맥을 잇는 싱어송라이터다. 유재하음악경연대회 출신인 그는 밴드 노리플라이의 보컬로 ‘내가 되었으면’을 비롯해 서정적이면서도 감성적인 발라드를 선보여 왔다. 최근 새 솔로 앨범 ‘여행자’를 들고 5년 만에 가요계로 돌아왔다.
●한 편의 산문 같은 노래 담아
권순관의 음악은 빠르고 자극적인 음악이 넘쳐나는 시대를 역행한다. 지금까지 200여곡을 쓴 유명 작곡가이기도 한 그는 기승전결이 뚜렷한 긴 호흡의 음악을 주로 만들어 왔다. 새 앨범의 타이틀이자 머릿곡인 ‘여행자’는 6분이 넘고, 파리 여행의 감상을 담은 ‘에펠 타워’도 5분에 달한다. 직접 쓴 가사들은 한 편의 잘 다듬어진 산문을 연상시킨다.
그는 “여행하다 보면 돌아가기도 하고 늘어지기도 하는데 ‘여행자’는 그런 감성을 담았다”면서 “제 음악이 잠시 쉬어 가고 생각에 잠길 수 있는 쉼표 같은 음악이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매일 쳇바퀴 돌듯 사는 것 같지만 우리는 시간의 흐름에 의해서 한곳에 머무르지 않고 계속 앞으로 가고 있잖아요. 그런 의미에서 삶과 여행은 닮아 있고 작은 인연도 우연 같지만 사실은 운명이라고 생각해요.”
AI가 작사·작곡까지 하는 시대에 음악가의 고민은 깊어질 수밖에 없지만 권순관은 자신감을 보였다. “누군가를 따라 하거나 시류에 편승한 음악들은 결국 AI로 대체되겠지만 AI로 마음을 움직이는 음악을 만드는 것은 쉽지 않다고 생각해요. AI가 제 스타일의 음악을 만든다고 하더라도 저는 또다시 성장한 새로운 음악을 할 테니까 두렵지 않습니다.”
●“난 라디오 세대, 롤모델은 김동률”
권순관은 “저는 라디오를 즐겨 듣고 자란 세대로 윤상, 김현철, 더 클래식, 빛과 소금 등 90년대 선배 가수들의 음악에 영향을 많이 받았다”면서 “김동률 선배님은 음악적 멘토이자 롤모델”이라고 소개하기도 했다.
“지금은 손쉽게 음악을 만드는 시대지만 감정을 풍부하게 건드리는 90년대 음악들은 오래 기억에 남고 생명력이 있는 것 같아요. 수제 악기로 한 땀 한 땀 만든 음악에는 기계가 절대로 흉내내지 못하는 깊이와 완성도가 담겨 있거든요.”
●깊이 있는 음악 명맥 이어질 것
마빈 게이, 빌 위더스, 스티비 원더 등 1970~80년대 팝 음악을 듣고, 크리스토퍼 놀런 감독의 철학적인 영화 서사에서 영감을 얻기도 한다는 권순관은 “보이는 음악이 중요해진 시대지만 소수일지라도 깊이 있는 음악의 가치를 아는 사람들이 있다면 그 명맥은 이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은주 기자
2025-08-26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