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오을 “사회주의자도 ‘北정권 수립’ 직접 참여 아니면 수훈해야”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곽진웅 기자
곽진웅 기자
수정 2025-07-15 23:36
입력 2025-07-15 23:36

“북한, 주적이란 표현 지금 쓸 필요있나”
野 비판 제기되자 “부적절한 표현 사과”
참전용사 사망시 ‘배우자 소득승계’ 추진

이미지 확대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 후보자가 1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의 인사청문회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뉴시스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 후보자가 1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의 인사청문회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뉴시스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 후보자는 15일 “북한 정권 수립에 직접 참여하지 않았으면 사회주의자도 수훈하고 경제적 보상을 해줘야 한다”고 밝혔다.

권 후보자는 이날 국회 정무위원회 인사청문회에서 관련 질의에 “사회주의 계열에 계셨던 분들이 유공에서 많이 제외돼 있다”며 “시대에 맞게 모든 독립유공자 자손이 혜택을 보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북한이 주적이냐는 질문에는 “지금 이 시점에서 주적이라고 표현하기에는 참 애매한 점이 있다”며 “남북 평화체제로 나가야 할 이 시점에 굳이 20~30년 전 용어를 다시 쓸 필요가 있을까 생각한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북한이 무력을 쓰면 즉시 응징하되 험한 말을 한다고 해서 맞대응하고 말로써 긴장을 고조시키는 건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해당 발언에 대한 야당의 비판이 제기되자 그는 “부적절한 표현에 대해 사과한다”고 했다.

권 후보자는 보훈정책과 관련해선 한국전과 월남전 참전용사 사망 시 배우자에게 참전수당 등 소득 승계,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PTSD) 환자 유공 인정, 효창공원의 국립공원 승격 등을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권 후보자는 역사 왜곡 논란 속 지난해 취임한 김형석 독립기념관장에 대해서는 “장관에 취임하게 되면 일단 만나보겠다”며 “(임명 과정도) 구체적으로 살펴보겠다”고 밝혔다. 이어 “정무직은 임명권자가 바뀌면 재신임 절차를 모두 다 거쳐야 한다는 게 평소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김 관장의 해임을 건의하겠느냐는 질의에는 “조금은 신중하게 진행해야 맞지 않겠나”라고 답했다.



김 관장은 ‘대한민국 건국은 1919년 임시정부 수립으로 시작돼 1948년 정부 수립으로 완성됐다’는 등 입장으로 광복회로부터 ‘1948년 건국론을 주장하는 뉴라이트 인사’라는 비판을 받았다.

곽진웅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