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쩌다 이런 일이…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1-04-15 00:42
입력 2011-04-15 00:00

119 생활안전 구조 44%…세살배기 주전자에 끼기도

# 2월 6일 천호동 한 건물에 신고를 받고 달려가 보니 1층에 멈춘 엘리베이터에서 “빨리 문 열어 달라.”는 아우성이 터졌다. 비상 열쇠로 문을 열었더니 할머니 10명이 빽빽이 낀 채 꼼짝도 못하고 있었다. 허용 인원을 넘어 작동이 멈춘 것이다.

이미지 확대
지난달 1일 송파구 방이동 한 가정의 신고를 받고 긴급출동한 119생활안전구조대원들이 주전자에 빠진 아기를 빼내고 있다. 송파소방서 제공
지난달 1일 송파구 방이동 한 가정의 신고를 받고 긴급출동한 119생활안전구조대원들이 주전자에 빠진 아기를 빼내고 있다.
송파소방서 제공


# 지난달 1일 송파소방서에서는 세살배기 아기가 주전자에 빠졌다는 황당한 신고를 받았는데, 진짜 커다란 물 주전자에 아기의 무릎까지 꽉 끼어 나오지 못하는 상황이었다. 절단공구로 주전자의 반을 잘라서야 아기를 꺼낼 수 있었다.

서울시 소방재난본부 119생활안전구조대가 지난해 긴급구조활동을 하면서 겪은 황당무계한 사건들이다. 본부는 시민들의 긴급구조 요청이 지속적으로 늘어남에 따라 생활안전구조대를 지난해 22팀에서 올해 47팀으로 확대 운영한다고 14일 밝혔다. 구조대와 먼 데 위치한 안전센터 22곳에 하나씩 추가로 배치하고 구로·광진·도봉소방서에도 설치해 현장 도착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했다.

생활안전구조대는 긴급성 여부에 따라 구조대를 별도로 운영해 구조활동의 효율성을 높이자는 취지로 지난해 전국에서 처음 도입했다. 문 잠김, 가스 누출, 수도 누수, 위치 추적, 동물 구조 등의 상황을 주로 해결하고 있다.



최근 3년간 서울 지역 전체 구조출동 20만 9179건 중 생활 안전사고는 9만 1069건(44.1%)이었으며, 유형별로는 실내 갇힘 3만 1408건, 위치 추적 2만 7553건, 동물 구조 2만 6511건이었다.

강동삼기자 kangtong@seoul.co.kr
2011-04-15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