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 78% “서울이 내 고향같아”
수정 2011-10-24 00:50
입력 2011-10-24 00:00
지난 30년 통계로 본 서울시민 생활상 변화
서울 시민 10명 중 8명이 출생지와 상관없이 서울을 고향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10명 중 4명이 서울에서 태어나 살고 있는 ‘서울 토박이’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서울시민의 날’(28일)을 앞두고 지난 30년간(1980~2010년) 시민의 생활상태 변동을 보여주는 ‘통계로 보는 서울시민의 생활상 변화’를 23일 발표했다. 자료는 2010년 인구주택총조사와 15세 이상 시민 4만 6000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10월 실시한 ‘서울서베이’를 토대로 작성됐다. 이에 따르면 시민들에게 출생지와 상관없이 ‘서울이 고향처럼 느껴지는가’라는 질문을 한 결과, 78%가 ‘그렇다’고 답했다.
이는 첫 조사를 시작한 2003년의 65%보다 13% 포인트 증가한 것이다.
특히 이 가운데 15세 이상 서울에서 태어나 살고 있는 서울 토박이의 경우 88%가 서울을 고향으로 느낀다고 응답했다. 서울에서 태어나 살고 있는 토박이는 전체 인구의 46.5%이며, 경제활동가능인구인 15세 이상 토박이의 비율은 40.3%로 1980년 25.1%보다 15.2% 포인트 늘었다.
저출산 고령화의 영향으로 지난 30년간 인구 분포에도 큰 변화가 있었다. 0~14세 인구가 1980년 260만 2264명에서 2010년 135만 5303명으로 절반가량 줄어든 반면 65세 이상 인구는 20만 7953명에서 92만 8956명으로 4.5배나 늘었다.
평균 가족구성원 수는 4.47명에서 2.7명까지 줄었다. 1~2인 미니 가구의 비중이 14.9%에서 46.7%로 크게 높아진 반면 1980년에 가장 많았던 5인 이상 대가구 비중은 46.2%에서 7.8%로 급락했다. 1인 가구는 8만 2477가구에서 85만 4606가구로 30년 동안 10배로 늘었다. 비중도 4.5%에서 24.4%로 높아졌다.
거주 형태는 지난해 처음으로 아파트가 단독주택을 추월했다. 아파트 거주 가구 비중은 전체의 41.1%로 1980년 10.7%에서 크게 높아진 반면 단독주택 거주가구 비율은 80%에서 37.2%로 줄었다.
30년 새 이혼 인구는 847.4%나 증가했고, 미혼 인구도 30대 12배, 40대는 27배 늘어나는 등 연령에 따른 혼인상태 변화도 두드러졌다.
15세 이상 중 배우자가 있는 인구는 54.3%(449만 2568명)이며, 미혼 35.7%(295만 2687명), 사별 6%(49만 5075명), 이혼 4.1%(33만 5849명) 등이었다.
이 밖에 통근·통학하는 비율이 증가하는 등 시민들의 바깥활동도 늘었다. 12세 이상 통근하는 여성은 1980년 52만 3838명에서 192만 9818명으로 3.7배(140만 5980명) 늘었고, 여성 통근율은 16.5%에서 43.5%로 상승했다.
조현석기자 hyun68@seoul.co.kr
2011-10-24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