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직 9급시험 2과목 정답 변경
수정 2011-06-02 00:00
입력 2011-06-02 00:00
정보봉사개론A형 17번 모두 맞게 수산일반A형 19번 복수정답 처리
행안부는 지난 27일 사이버국가고시센터(http://www.gosi.go.kr)를 통해 최종 정답을 공개하면서 정보봉사개론 A책형 17번 문제와 수산일반 A책형 19번 문제의 최종 정답을 변경한다고 밝혔다. ‘국어 폭탄’ 논란을 낳으며 가장 많은 이의가 제기된 국어는 정답 가안을 모두 최종 정답으로 확정했다.
☞<정책·고시·취업>최신 뉴스 보러가기
●24 과목 52문항에 이의 신청
4개의 보기를 제시하면서 정보원의 주제 범위가 동일한 것을 물은 정보봉사개론 17번 문제는 애초 정답 가안 3번에서 ‘정답 없음’으로 결정, 모두 정답으로 처리했다.
또 ‘어류의 자원을 진단할 때 남획으로 나타나는 징후로 옳지 않은 것’을 물은 수산일반 19번 문제는 보기 3번 ‘자원 분포영역이 확대되어, 어장면적이 증가되는 현상이 나타난다.’를 정답으로 발표했지만, 수험생들의 이의 신청을 받아들여 보기 4번 ‘연령별 체장과 체중은 감소하며, 성 성숙연령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인다.’도 복수 정답으로 인정했다.
행안부 관계자는 “이의 신청 기간 중 모두 24과목 52문항에 대한 이의가 제기됐다.”면서 “과목별 문제 선정 위원 2명과 문제 선정에 참여하지 않은 외부 위원 1명이 이의 제기 내용을 검토했고, 일부 오류가 발견된 문제는 정답을 변경했다.”고 말했다.
●국어A형 11번은 정답 그대로
행안부는 “특히 올해 국어 시험에 대한 이의가 많았기 때문에 정답 확정 위원들이 관련 분야의 다른 전문가들의 의견까지 구하는 과정을 거쳐 전원 합의로 정답을 확정했다.”고 설명했다. 심리학 관련 문항이 포함됐던 디자인 기획론은 이를 검토하기 위해 심리학 교수 2명이 추가로 정답 확정회의에 참여했다.
올해 가장 많은 이의가 제기된 문제는 통사적 합성어를 고르는 국어 A책형 11번 문제로, 행안부는 보기 1번 ‘큰집’을 정답으로 발표했지만 사이버고시센터에는 “큰집은 합성어가 아닌 파생어”라는 주장이 14건 이어졌다.
이에 대해 유두선 남부행정고시학원 국어 강사는 “큰집의 ‘큰’을 접두사로 생각해 파생어라고 주장하는 수험생들이 많다.”면서 “하지만 7차 문법교과서를 보면 ‘큰집’은 통사적 합성어로 규정하고 있으며, 나머지 보기는 비통사적 합성어이기 때문에 ‘큰집’이 정답이다.”라고 설명했다.
박성국기자 psk@seoul.co.kr
2011-06-02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