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공무원 2차 D-37… 주요 과목별 학습 전략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1-07-21 00:00
입력 2011-07-21 00:00
시험 일정만 알려졌던 2011년도 순경 2차 시험의 선발 예정 인원이 21일 공개됐다. 경찰청은 이날 일반공채 1461명(남자 963명, 여자 498명), 전·의경 특채 250명, 정보통신 공채 22명(남자 17명, 여자 5명), 101단 120명 등 모두 1853명을 선발한다고 밝혔다. 지방청별로는 서울이 564명으로 선발 예정 인원이 가장 많고, 경기(357명), 부산(149명), 대구(125명), 경남(114명), 강원(91명) 등이 뒤를 이었다. 서울신문은 필기시험(8월 27일)을 37일 앞두고 일반직 기준 주요 과목별 학습 전략을 알아봤다.

이미지 확대


●매일 모의고사로 실전감각 키워야

순경 채용 시험은 객관식인 필기시험과 신체검사, 체력검사, 적성검사, 면접시험을 통해 최종 합격자를 선발한다. 필기시험 과목은 일반직과 전의경의 경우 경찰학개론, 수사, 영어, 형법, 형사소송법으로 구성되며 정보통신직은 국어, 국사, 영어(이상 필수 과목) 외에 전자계산 일반, 유선공학, 무선공학 중 한 과목을 선택과목으로 두고 있다.

수험 전문가들은 “시험을 한달여 앞둔 지금부터는 새로운 내용을 익히기보다는 매일 모의고사를 풀며 실전 감각을 키워야 한다.”고 입을 모왔다.

☞<정책·고시·취업>최신 뉴스 보러가기

박준철 남부경찰학원 경찰학개론 강사는 “이제부터는 시간적 여유가 없기 때문에 학습 범위를 너무 방대하게 넓히지 말고 단권화할 필요가 있다.”면서 “다양한 문제를 통해 문제 푸는 요령을 익히고, 최신 판례는 가능한 한 많이 확인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경찰학개론은 사회적 이슈에 특정 이론이 연계된 문제가 출제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 만큼 기본서의 내용과 함께 최신 시사 문제의 핵심과 논점을 파악한다면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영어 20문제 중 10문제 이상이 독해

수사는 다른 과목에 비해 비교적 쉽게 출제되는 경향을 보여와 수험생들도 상대적으로 부담감을 적게 느끼는 과목이다. 하지만 그만큼 실수를 조심해야 하는 과목이기도 하다.

수사총론에서는 통상 11~13문제가 출제되고, 각론에서는 7~9문제가 나오고 있기 때문에 총론에 비중을 두되 각론도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안태영 수사 강사는 “최근에는 법령과 규칙의 내용을 묻는 문제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이로 인해 문제가 장문화되는 경향을 보인다.”면서 “남은 기간 틈나는 대로 법령과 규칙을 익혀야 한다.”고 말했다. 안 강사는 범죄수사규칙 ▲경찰 내사 처리 규칙 ▲수사본부 설치 및 운영 규칙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피의자 유치 및 호송규칙 등을 자주 출제되는 문제로 꼽았다.

영어는 경찰공무원 시험뿐만 아니라 모든 공무원 채용 시험에서 공통적으로 독해가 강조되고 있다. 매 시험의 20문제 가운데 10문제 이상이 독해 관련 문제인 만큼 독해력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정철호 영어 강사는 “기본서에 있는 예문과 문제를 통해 기본 문법과 관용 표현을 다시 확인하면서 매일 일정 시간을 독해에 투자해 감각을 유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체력·면접 비중 확대… 체력관리도 중요

형법과 형사소송법에서는 법조문과 판례 암기가 필수다. 특히 형법은 판례 문제가 주를 이루고 있는 만큼 최근 2~3년간의 판례는 반드시 숙지하고 법조문도 함께 암기해야 한다. 또 단순히 판례에 학설과 이론을 혼합한 문제가 나올 가능성도 높기 때문에 판례를 이론과 연계해서 정리해야 한다.

김현 형법 강사는 “시험 직전까지 다양한 법조문을 익혀두고 지난해까지의 판례는 반드시 다시 확인해야 한다.”고 말했다.

형사소송법은 절차법의 특성상 법의 구조를 묻는 문제가 다수 출제되고 있다. 대부분이 판례와 사례를 인용한 문제이기 때문에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한 뒤 관련된 판례와 사례 등을 연관지어 공부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한편, 순경 채용 시험은 필기시험에 이어 9월 15일 신체검사와 체력검사가 이어지는 만큼 체력 관리도 필기시험 못지않게 중요하다. 특히 경찰청이 우수 치안 인력을 선발하기 위해 필기시험 비중을 축소하고 체력과 면접시험 비중을 기존 35%에서 50%로 확대한 만큼 꾸준한 운동을 통해 체력검사를 준비해야 한다.

체력검사 종목은 현행 100m 달리기, 윗몸일으키기, 좌우 악력, 제자리멀리뛰기 등 총 4개 종목에서 제자리멀리뛰기가 폐지되고 팔굽혀펴기와 1200m 달리기가 신설됐다.

체력은 단시간에 단련되지 않기 때문에 매일 1시간 정도 시간을 내 팔굽혀펴기와 달리기 등의 운동을 하고 필기 과목 공부를 병행하는 것이 좋다.

박성국기자 psk@seoul.co.kr

■ 도움말 남부경찰학원
2011-07-21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