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객기 참사 유족 “합동분향소, 무안공항에 설치해야”… 국민의힘에 불편한 심기도

이정수 기자
수정 2024-12-30 13:13
입력 2024-12-30 13:13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유가족들이 전남 무안국제공항 1층에 합동분향소를 마련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유족협의회는 30일 무안공항 2층 대합실에서 “약 5㎞ 떨어진 무안종합스포츠파크(체육관)에 합동분향소가 설치돼 있다는데 유족 대다수는 공항 1층에 만들어주길 바라고 있다”고 말했다.
박한신 유족협의회 위원장이 “이런 의견에 동의하시느냐”고 묻자 유족들은 “여기서 떠나면 안 됩니다” 등으로 답했다.
이어 박 위원장은 유족들의 동의 여부를 거수로 확인했고, 이 자리에 모인 대부분 유가족은 손을 들어 무안공항 1층 합동분향소에 찬성했다.
유족 대표단은 이같은 요구를 정치권과 피해자지원센터 등에 전달하기로 했다.

수습당국은 현재 무안군 현경면 종합스포츠파크와 전남도청, 광주 5·18 민주광장 등 3곳에 합동분향소를 설치해 둔 상태다.
대표단은 또 사망자가 모두 확인될 때까지 장례 절차를 중단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 위원장은 “현재 수습되지 않은 시신 이십몇 구가 있다”며 “확인되기까지 장례 절차의 모든 부분이 일시 스톱됨을 알려드린다”고 말했다.
이어 “개별적 인터뷰도 자제해 주시길 바란다”며 “우리가 다 같이 모여있으면 목소리를 낼 수 있다”고 유족의 단합된 대응을 당부했다.
앞으로 발생하는 관련 비용은 제주항공과 모기업인 애경그룹에서 부담하는 것을 명확하게 하겠다는 입장도 꺼냈다.
박 위원장은 “제주항공 측에 확약서를 받는다고 했는데 그것은 우리의 보험과 마찬가지”라며 “(애경 측이 부담하겠다는 내용을) 확약서에 명시하기 위해 문구를 3번 정도 수정했다. 변호사 자문을 받아 진행 중”이라고 안내했다.

박 위원장은 여당인 국민의힘에 대한 불편한 심기도 내비쳤다. 그는 “많은 정당 가운데 딱 한 정당만 찾아오지 않았다. 179명이 하늘나라로 갔는데 사람의 도리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어제부터 여러 정당 관계자들이 찾아와 유족들을 위로하고 있다”며 “앞으로 넘어야 할 산이 많다. 이제 1부 능선을 넘었다. 유족협의회 집행부를 도와달라”고 호소했다.
이 발언이 나온 뒤 권성동 국민의힘 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를 비롯한 지도부가 이날 오전 무안공항을 찾아 유족들을 위로하고 합동분향소에 조문했다.
소방청 등에 따르면 지난 29일 오전 태국 방콕공항을 출발해 무안공항으로 착륙하려던 제주항공 7C2216편이 랜딩기어(비행기 바퀴) 미작동으로 동체착륙 후 공항 시설물과 충돌해 기체 대부분이 화염이 휩싸이는 사고를 당했다. 이 사고로 탑승객 181명 중 승무원 2명을 제외한 179명이 사망했다.
이정수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