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종이빨대 싫어”…플라스틱 빨대 귀환한 스타벅스 가보니
박효준 기자
수정 2025-06-25 17:03
입력 2025-06-25 16:45
플라스틱 빨대 사용하는 소비자가 더 많아
“종이 빨대보다 편리”vs“환경 보호 역행”

스타벅스가 전국 200여개 매장에 플라스틱 빨대를 다시 도입한 25일, 점심시간이 되자 서울 영등포구의 한 스타벅스 매장 안에 구비된 플라스틱 빨대는 순식간에 동이 났다. 정오부터 오후 1시까지 직원들은 ‘식물 유래 소재 플라스틱’이라고 적힌 빨대 통을 두 차례나 다시 채웠다. 반면 종이 빨대가 담겨 있는 통은 빈 적이 없었다.
그동안 종이 빨대가 음료의 맛을 떨어뜨리고, 오래 사용하면 흐물흐물해진다는 등의 이유로 불편함을 호소했던 소비자들은 플라스틱 빨대의 ‘귀환’을 반겼다. 하지만 “환경보호 정책에 역행한다”, “식물 유래 소재라고 해도 결국 환경오염의 주범이 되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왔다.
이날 스타벅스 매장에서 서울신문과 만난 직장인 김검수(57)씨는 “또 써도 될 정도로 단단하고 편리한 빨대라 만족스럽다”고 했고 조영란(48)씨도 “식물성 소재로 만들었다니 안심이 된다”고 말했다.
종이 빨대 쪽으로 손을 뻗다 플라스틱 빨대를 집어 든 신모(29)씨는 “종이 빨대는 금방 젖어서 제대로 빨리지도 않는다”며 “빨대 기능을 제대로 못 했는데 플라스틱 빨대가 나와서 다행”이라고 말했다. 백모(34)씨도 “종이 빨대를 사용하면 두유와 종이 맛이 섞일 때도 있고, 종이가 녹아 입에 들어오는 느낌도 들었다”고 설명했다.
마포구의 한 스타벅스 매장도 사정은 비슷했다. 플라스틱 빨대 전용 수거함에는 이미 사용하고 난 빨대들이 수북하게 쌓여 있었다. 매장에서 만난 직장인 김모(32)씨는 “종이 빨대에 있는 접착제가 녹아서 몸에 들어가거나 오히려 환경을 망친다는 이야기도 들었다”고 했다.
스타벅스가 지난 2018년 ‘단 하나뿐인 지구를 위한다’며 종이 빨대를 전면 도입했다 7년 만에 다시 플라스틱 빨대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비판도 많았다. 취업준비생 김모(26)씨는 “식물성 소재로 만들었다고 해도 미세플라스틱이 안 나오는 건 아니지 않느냐”고 전했다. 환경단체 플뿌리연대의 구도희(24) 활동가는 “플라스틱 빨대 재도입은 플라스틱 감축 흐름에 역행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글·사진 박효준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