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덕신공항 지연 책임 여론 의식했나…현대건설, 부산 벡스코 제3전시장 입찰 포기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정철욱 기자
정철욱 기자
수정 2025-08-20 14:01
입력 2025-08-20 14:01
이미지 확대
부산시청 전경. 부산시 제공
부산시청 전경. 부산시 제공


가덕도신공항 부지조성 공사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고도 수의계약을 일방 파기해 부산지역에서 비판받은 현대건설이 부산 벡스코 제3전시장 건립 사업 입찰을 포기했다.

20일 부산시에 따르면 현대건설은 최근 시에 벡스코 제3전시장 건립사업 입찰에 참여하지 않겠다는 내용의 공문을 보냈다. 시가 지난 3월 벡스코 제3전시장 건립 현장 설명회에 참여한 16개 건설사에 입찰 참여 의사를 묻는 질의서를 보낸 데 대한 답변이다.

벡스코 제3전시장은 사업비가 2900억원 규모로, 2028년 완공을 목표로 한다. 현대건설은 앞서 벡스코 1, 2 전시장 공사를 맡은 바 있다. 현대건설을 비롯한 현대그룹 계열사가 공기업인 벡스코 지분을 30% 이상 보유하기 있기도 하다.

헌대건설은 애초 제3 전시장 공사 수주 의지를 보였으나, 가덕도 신공항 부지조성을 포기한 뒤로 지역사회에서 비판이 일자 입찰을 포기한 것으로 보인다.

앞서 현대건설 컨소시엄은 가덕도신공항 부지조성공사 우선협상자 대상자로 선정됐으나, 입찰 조건이었던 공기 84개월보다 2년 늘어난 기본 설계안을 제시했고, 국토부가 거부하자 계약 체결을 포기했다.

이 탓에 부산지역에서는 현대건설이 제3 전시장을 비롯한 국책·관급 공사에 참여할 수 없도록 페널티를 줘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기도 했다.

전원석 시의원은 지난달 24일 “시민의 신뢰를 저버린 업체에 대한 최소한의 입찰 제한조차 검토하지 않는 것은 무책임한 행정”이라며 부산시에 현대건설의 입찰 제한 조치를 주문했다.

현대건설이 벡스코 제3전시장 사업 참여를 포기했지만, 가덕도 신공항 부지조성 공사를 일방 포기한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서지연 부산시의원은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현대건설은 가덕도신공항 건설사업에서 착공의 지연과 혼란을 초래한 기업으로, 떠날 자유는 있으나 공공에 손해를 떠넘긴 책임을 절대 벗어날 수 없다”면서 “대규모 공공개발 사업처럼 지역사회 파급력이 큰 사업에서 철수할 경우 과징금 부과, 재입찰 제한, 지역 피해 보상 등으로 책임을 묻는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라고 밝혔다.

부산 정철욱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