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임금일자리 역대 최소 증가… 건설업·청년 부진 여파

강동용 기자
수정 2025-08-26 14:12
입력 2025-08-26 14:12
2025년 1분기 임금 근로 일자리 동향
건설업 최대 폭↓…제조업 4년 만에↓
20·40대 일자리 역대 최대폭 감소

올해 1분기 임금 근로자 일자리가 1년 전보다 1만 5000개 늘어나는 데 그치며 역대 최소 증가 폭을 기록했다. 내수 부진 탓에 제조업 일자리가 4년 만에 마이너스로 돌아섰고, 건설업 일자리는 역대 가장 큰 폭으로 쪼그라들었다.
통계청이 26일 발표한 ‘2025년 1분기(2월 기준) 임금 근로 일자리 동향’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체 임금 근로 일자리는 2053만 6000개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만 5000개 늘었다. 임금 근로 일자리는 근로자가 점유한 고용 위치를 의미하며, 한 사람이 두 개 이상 일자리를 가질 경우 각각 따로 집계된다. 임금 근로 일자리 증가 폭은 지난해 4분기(15만3천개) 처음으로 10만개대로 떨어졌고, 올해 1분기에는 1만개대로 급감하며 역대 최소치를 찍었다.
건설업 일자리는 역대 가장 큰 폭인 15만 4000개 내려앉았다. 건설업 일자리는 2023년 4분기부터 6분기 연속 줄면서 169만개로 축소됐다. 역대 최소 수준인 2020년 1분기(165만 5000개)와 비슷한 수준이다. 제조업은 1만 2000개 줄며 2021년 1분기 이후 4년 만에 감소 전환했다. 도소매업 일자리도 8000개 감소하며 처음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지속되는 건설경기 침체와 수출 부진이 건설업·제조업 일자리 감소에 영향을 줬다는 게 통계청 설명이다.
특히 청년과 경제 허리인 40대 일자리가 큰 폭으로 줄었다. 20대 이하(-16만 8000개)와 40대(-10만개)는 역대 최대 폭으로 감소했다. 반면 60대 이상(19만 7000개)에서 가장 일자리가 많이 늘었고, 30대(6만 4000개)와 50대(2만 1000개)도 증가했다. 20대 이하에서는 도소매, 건설업, 정보통신업 중심으로, 40대는 건설업, 제조업, 도소매업 중심으로 일자리가 감소했다. 통계청은 인구 구조 변화와 경기 부진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고 있다.
세종 강동용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