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만 7번 일본 변호사 사칭 협박…이번엔 “서울시청, 초등학교 폭발물 설치”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송현주 기자
송현주 기자
수정 2025-08-25 15:50
입력 2025-08-25 15:50
2023년 8월부터 이날까지 총 46건
경찰, “공권력 낭비에 대응책 준비 중”
이미지 확대
서울 중구에 있는 서울시청사 전경. 서울시 제공
서울 중구에 있는 서울시청사 전경. 서울시 제공


일본 변호사를 사칭한 폭발물 설치 협박 팩스가 또다시 등장해 경찰이 일대 순찰을 강화하는 등 소동이 빚어졌다. 이달에만 벌써 일곱번째다. 경찰은 허위 폭파 협박으로 인한 공권력 낭비와 사회 불안이 심각하다고 보고 대응책을 마련키로 했다.

서울 중부경찰서와 남대문경찰서는 25일 오전 8시 26분쯤 서울의 한 초등학교로부터 “서울시청과 서울 소재 초등학교에 폭발물을 설치했다”는 팩스를 받았다는 신고를 접수했다.

‘가라사와 다카히로’라는 일본 변호사를 사칭한 이 팩스에는 “서울시청과 서울 소재 초등학교 등에서 자폭을 실행하겠다”는 내용이 일본어와 영어로 적혀 있었다고 한다. 경찰은 위험 수위가 낮다고 보고 인근 지구대 인원을 보내 일대 순찰을 강화했다. 기존처럼 경찰특공대 투입이나 인원 대피 등 조치는 취하지 않았다.

2023년 8월 시작된 ‘가라사와 다카히로’ 명의의 테러 협박은 이날까지 팩스 29건, 이메일 19건 등 모두 48건에 달한다. 특히 이달 들어서만 팩스 6건, 이메일 1건 등 모두 7건이 접수됐는데, 팩스의 경우 모두 같은 번호인 만큼 경찰은 동일범으로 보고 있다. 일본 변호사 명의 테러 협박은 지난 2월 중단됐다가 이달 들어 다시 기승을 부리고 있다.



경찰은 그동안 협박 팩스 등이 접수될 때마다 특공대를 동원해 수색에 나섰지만, 폭발물이 발견된 적은 없었다. 경찰은 발신자를 추적하기 위해 일본과 팩스 경유지인 제3국 등과 국제 공조를 하고 있으나 별다른 진척은 없는 상태다. 박현수 서울경찰청장 직무대리는 이날 간담회에서 “공권력 낭비가 매우 심각한 만큼 저위험 협박은 순찰을 강화하는 등 나름의 가이드라인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송현주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