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초반 전세 줄고 월세·자가 늘어…깊어지는 청년세대 ‘주거 양극화’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강동용 기자
강동용 기자
수정 2025-03-27 15:02
입력 2025-03-27 15:02

통계청 ‘생애과정 이행에 대한 코호트별 비교 연구’

이미지 확대
27일 서울 시내 아파트 등 주거단지의 모습. 연합뉴스
27일 서울 시내 아파트 등 주거단지의 모습. 연합뉴스


30대 초반 전세 세입자 비율은 점차 줄어드는 반면, 월세·자가 거주 비율은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세대의 자산 격차가 커지면서 ‘주거 양극화’가 깊어지는 모습이다.

통계청 국가통계연구원은 27일 이런 내용의 ‘생애과정 이행에 대한 코호트별 비교 연구: 혼인·출산·주거’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를 코호트(cohort·공통된 특성을 가진 사람들 집단) 분석해서 1970~1989년생 일반가구원의 주택 점유 형태를 분석했다.

30대 초반(31~35세) 가구원 중 월세 형태 비율은 점차 증가했다. 1970~1974년생이 30대 초반이던 때엔 월세 거주 비율이 17.3%였다. 이후 1975~1979년생이 30대 초반이 된 시기엔 이 비율이 19.0%로 커졌다. 월세 비율은 1980~1984년생은 20.8%, 1985~1989년생 21.3%로 꾸준히 늘었다. 30대 초반에 ‘월세살이’를 하는 비율이 갈수록 늘고 있다는 의미다.

자가에서 사는 사람의 비율도 비슷한 흐름이었다. 30대 초반 자가 거주 비율은 1970~1974년생이 48.1%, 1975~1979년생이 46.6%, 1980~1984년생이 51.1%, 1985~1989년생이 49.0%였다. 보고서는 “약간의 등락은 있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최근 세대일수록 자가 거주 비율이 증가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반면 30대 초반 시기 전세 거주 비율은 시간이 지날수록 ‘우하향’하는 흐름을 나타냈다. 보고서는 “가족 형성이 가장 활발한 30대 초반 청년층의 주거 점유 형태에 양극화가 진행되고 있다”고 해석했다. 경제적 여력이 있는 청년들은 전세에서 자가로, 그렇지 못한 청년들은 전세에서 월세로 이동하며 양극화가 심해졌다는 것이다. 다만 보고서는 “자가 소유 비율은 역대 부동산 정책 변화와 경제 상황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며 “해석에 주의해야 한다”고 했다.

세종 강동용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