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인, 하반기 코인 투자 문 열린다… 거래소·제휴은행 물밑 싸움 치열

김예슬 기자
수정 2025-03-31 17:49
입력 2025-03-31 17:49

국내 가상자산(암호화폐) 시장에서 법인의 투자 목적 참여가 임박해 오면서 주요 가상자산 거래소들의 물밑 싸움이 치열해지고 있다. 올해 하반기부터 업계 ‘큰손’인 상장법인과 전문투자자들의 가상자산 매매가 가능해지는 만큼 제휴 은행과의 협력을 통해 법인 회원 유치전에 선제 대응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업비트·빗썸, 법인 회원 모으기 경쟁31일 가상자산 업계에 따르면 국내 1, 2위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와 빗썸은 최근 법인 회원을 대상으로 가입 신청 서비스 경쟁을 벌이고 있다. 업비트는 최근 공식 홈페이지에 ‘법인계좌 가입 문의’ 전용 창구를 신설했다. 빗썸도 법인 회원 가입 신청을 받고 있는데 회원 가입을 신청하면 전담 매니저가 직접 방문하는 ‘찾아가는 서비스’로 적극 대응 중이다.
주요 거래소들의 이 같은 움직임은 가상 자산 법인 투자 시대가 코앞으로 다가왔기 때문이다.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가상자산 시장 참여 로드맵’에 따르면 올해 하반기 중으로 상장기업과 전문투자자 등록 법인의 가상자산 매매가 허용된다. 금융위는 지난해 11월 검찰·국세청·관세청 등 법 집행기관의 가상자산 매도 거래를 허용한 데 이어 4월 중으로 지정기부금 단체와 대학교 등의 비영리법인 및 가상자산 거래소의 가상자산 매도를 허용한다.
법인 3500여곳… 거래소 성장 ‘분기점’업계에서는 올 3분기 상장법인·전문투자자 등록 법인 회원을 얼마나 유치하느냐가 거래소 성장의 분기점이 될 것이란 시각이다. 금융위에 따르면 자본시장법상 전문투자자 중 금융사를 제외한 상장법인과 금융투자 상품 잔액 100억원 이상인 전문투자자 등록 법인은 총 3500여곳에 달한다.
코빗 등 은행 손잡고 점유율 ‘뒤집기’금융지주 계열 은행과 실명계좌 제휴를 맺고 있는 거래소들은 법인 회원을 적극 유치해 점유율 뒤집기에 나선다는 복안이다. 시중은행들은 대기업 고객 기반을 가지고 있는 데다 전문 수탁업체와의 협업도 진행하고 있다. 현재 원화 거래소 가운데 빗썸(KB국민은행)과 코빗(신한은행)이 시중은행과 실명계좌 제휴를 맺고 있다. 국민은행은 2020년 가상자산 수탁업체 한국디지털에셋(KODA)을 설립했다. 신한은행도 2021년 한국디지털자산(KDAC)을 설립했다.한편 국내 시장 점유율 1위 업비트는 제휴 은행인 케이뱅크와 연계된 별도의 수탁사가 없다. 모회사인 두나무가 고객 자산을 직접 보관하고 있다. 업비트와 케이뱅크 간 실명계좌 계약이 오는 10월 종료 예정이라는 점에서 업비트가 시중은행으로 실명계좌 제휴처를 변경할 것이라는 예측도 있다. 시중은행 중에서는 하나은행이 2023년 글로벌 수탁업체 비트고(BitGo)와 제휴를 맺고 한국 법인을 설립했다. 우리은행도 지난해 국내 수탁업체 비댁스(BDACS)와 협력해 지분 일부를 보유 중이다.
김예슬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