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엔 ‘용돈 대신 주식’… 증권사, 미성년 계좌 마케팅 경쟁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김예슬 기자
김예슬 기자
수정 2025-10-05 11:00
입력 2025-10-05 11:00
추석 전후 미성년 이벤트 경쟁 한창
비대면 계좌 허용 이후 꾸준히 증가
절세 효과에 장기투자 선호도 확산
이미지 확대
연합뉴스
연합뉴스


‘용돈 대신 주식’이 추석 트렌드로 부상하자 증권사들이 미성년 계좌 마케팅에 열을 올리고 있다.

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주요 증권사들은 미성년 고객을 겨냥한 이벤트를 잇달아 내놓고 있다. 키움증권은 현재 ‘우리아이 미국주식 더 모으기’ 이벤트를 이달 말까지 진행한다. 2006년 이후 출생한 미성년자가 비대면 해외주식 거래 계좌를 신규 개설하면 최대 9만원 쿠폰을, 기존 고객에게는 2만원 쿠폰을 지급한다. 해외주식 매수와 환전 수수료 면제 혜택도 포함돼 있다.

미래에셋증권도 비대면 다이렉트 계좌 신규 개설자를 대상으로 ‘WELCOME 이벤트’를 운영 중이다. 생애 첫 계좌를 개설한 고객에게 2만원 혜택과 해외주식 투자지원금, 일정 기간 수수료 우대 혜택을 제공한다. 자녀 명의 계좌 역시 부모 확인 절차를 거치면 참여할 수 있다.

이러한 마케팅은 제도 변화에 힘입은 측면이 크다. 금융위원회는 2023년 4월 ‘비대면 실명확인 가이드라인’을 개편해 부모가 지점 방문 없이도 모바일을 통해 미성년 자녀 명의 계좌를 개설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이전에는 인감과 가족관계증명서를 지참해 영업점을 찾아야 했지만, 제도 개선 이후 계좌 개설 절차가 한층 간소화됐다. 증권업계에서는 이 조치 이후 미성년 계좌 개설이 늘어나는 추세라고 본다. 특히 명절 시즌에는 수요가 더 몰리는 경향이 있다는게 업계 설명이다.

증여세 절세 효과도 미성년 계좌 확대의 중요한 배경이다. 미성년자는 10년간 2000만원까지 증여세 없이 자산을 이전받을 수 있고, 증여된 돈으로 산 주식에서 발생한 매매차익이나 배당금에는 과세가 적용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부모들이 자녀 계좌를 통해 장기 성장주나 배당형 상장지수펀드(ETF)를 사주는 경우가 많다는 분석이 나온다.

증권사 관계자는 “명절은 자녀에게 주식을 선물하려는 수요가 집중되는 시기”라면서도 “증여세 규정과 투자 리스크를 충분히 이해한 뒤 계좌 개설과 투자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예슬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