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도 또 올랐네?…‘N차 인상’ 굳어지는 명품업계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박은서 기자
박은서 기자
수정 2025-07-01 17:52
입력 2025-07-01 17:52
이미지 확대
서울의 한 백화점 명품관. 연합뉴스
서울의 한 백화점 명품관. 연합뉴스


‘1292만원→1373만원→1469만원’

스위스 명품 시계 브랜드 롤렉스가 올해 들어 조정한 데이트저스트 오이스터스틸 36㎜의 국내 판매가 추이다. 6개월 사이 13.7%(177만원)나 올랐다. 통상 한 해에 한 차례 가격을 올리던 명품업계의 관행이 사라지는 모습이다.

1일 명품업계에 따르면 롤렉스는 이날 주요 제품의 가격을 약 7% 인상했다. 랜드드웰러 오이스터스틸·화이트골드 40㎜ 제품은 기존 2213만원에서 2368만원으로, 데이트저스트 오이스터스틸·에버로즈골드 31㎜ 제품은 1862만원에서 1992만원으로 각각 7.0%씩 올랐다.

하반기 시작과 동시에 또 제품 가격을 올린 것으로, 롤렉스는 지난 1월 1일에도 국내 판매가를 올린 바 있다.

이미지 확대
서울 시내 한 샤넬 매장. 뉴시스
서울 시내 한 샤넬 매장. 뉴시스


많은 명품 브랜드가 한 해에 수차례 가격을 올리는 ‘N차 인상’ 추세를 따르고 있다. 샤넬은 지난달 일부 가방과 주얼리 제품의 가격을 최대 10% 올렸다. 앞서 지난 1월에 가방을, 3월엔 화장품 가격을 올리며 상반기에만 세 차례 가격 인상을 했다.

이탈리아 명품 주얼리·시계 브랜드인 불가리는 지난 4월 시계 제품의 가격을 올렸는데, 지난달엔 주얼리 제품의 가격을 7~10%가량 도 인상했다. 프랑스 브랜드 까르띠에도 지난 2월 모든 카테고리의 제품 가격을 약 6% 올린 뒤, 5월에 주얼리와 시계 등의 가격을 또 올린 바 있다.

주얼리 제품의 가격 인상은 올해 들어 가파르게 오르는 금값의 영향도 있다. 하지만 최근 원달러 환율이 1350원대로 떨어지는 점을 고려하면 명품 업계의 가격 인상 행렬은 외부적인 요인보다 가격을 올려도 명품에 대한 견고한 수요가 있을 것이라고 판단해서다.



백화점업계 관계자는 “명품 브랜드들은 향후 제품 가격이 더 오를 것이라며 구입 유도를 하는 게 세일즈 전략이기도 하다”면서 “희소성을 중시하는 브랜드 입장에선 하이엔드 이미지를 유지하기 위해 하반기에도 가격을 올리려는 추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박은서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