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아파트 매매 비중 4년 만에 최대…안전자산 쏠림 심화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하종훈 기자
하종훈 기자
수정 2025-04-01 17:52
입력 2025-04-01 17:52

지난해 45.4%가 수도권
신규 아파트 공급 51.4%

이미지 확대
수도권 아파트 매매 비중 4년만에 최대
수도권 아파트 매매 비중 4년만에 최대 1일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아파트 단지 모습.
연합뉴스


지난해 전국 아파트 거래에서 수도권이 차지하는 비중이 절반에 육박하면서 4년 만에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른바 ‘똘똘한 한 채’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며 수도권 쏠림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1일 분양평가 전문회사 리얼하우스가 한국부동산원의 지역별 매매 거래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전국 아파트 매매 49만 2052건중 45.4%가 수도권(서울·경기·인천)에서 거래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0년(47.2%) 이후 4년 만에 가장 높은 비율이다. 수도권 거래 비중은 올해 1월(44.1%)과 2월(45.0%)에도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됐다.

거래량 증가 속도에서도 수도권은 지방을 앞질렀다. 지난해 수도권 아파트 거래량은 모두 22만 3340건으로 전년 대비 34.0% 증가했다. 특히 서울 아파트 거래(5만 8282건)가 59.9% 늘며 증가세를 이끌었고 지난해 전국 아파트 거래에서 서울이 차지하는 비율은 11.8%다. 디에이치 방배, 래미안 원펜타스, 아크로 리츠카운티 등 강남권의 재건축 단지에 대한 투자 수요가 유입된 것 탓으로 보인다. 이밖에 경기도의 거래량은 13만 3887건으로 전년보다 28.3% 늘었고, 인천은 3만 1171건이 거래되면서 20.2% 증가했다. 이에 비해 비수도권 아파트 거래는 지난해 총 26만 8712건으로 전년 대비 9.6%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신규 아파트 공급에서도 수도권은 지난해 51.4%를 차지하며 2023년(51.7%)에 이어 2년 연속 50%를 넘겼다.

김선아 리얼하우스 분양분석팀장은 “투자 측면에서 수도권 아파트는 거래가 많아 환금성이 높고 가격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안전자산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데 경제적으로 불안한 시국이라 올해는 안전자산 쪽으로 쏠림이 더 심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하종훈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