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대기업 진입 기회 축소…20여년간 이중구조 고착화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하종훈 기자
하종훈 기자
수정 2025-09-07 19:31
입력 2025-09-07 19:31

경총 “정년 연장·고령자 증가 영향”

이미지 확대


지난 20여년간(2004~2024년) 우리나라 노동 시장에서 정년 연장 효과로 대기업 정규직 내 고령자 비중이 늘면서 청년층의 질 좋은 노동시장 진입 기회가 적어진 것으로 분석됐다. 대기업 정규직과 중소기업 비정규직의 임금 격차도 개선되지 않는 등 노동시장의 이중구조가 고착화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가 7일 발표한 ‘우리나라 노동시장 이중구조 실태와 시사점’에 따르면 대기업 정규직 부문의 고령자(55∼59세) 고용은 2004년 4만 2000명에서 지난해 24만 7000명으로 492.6% 증가했다. 같은 기간 청년(23∼27세) 고용은 2004년 19만 6000명에서 2024년 19만 3000명으로 1.8% 감소했다. 이에 따라 대기업 정규직 내 고령자 비중이 2.9%에서 9.3%로 상승해 13.7%에서 7.3%로 줄어든 청년 고용을 역전했다.

대기업 정규직의 진입 장벽이 높아졌음은 근속연수 지표에서도 나타났다. 대기업 정규직의 평균 근속연수는 2004년 10.40년에서 지난해 12.14년으로 길어진 가운데 신규 채용률(근속 1년 미만자 비중)은 9.6%에서 6.5%로 하락했다. ‘여타 부문’(중소기업 정규직 및 대기업·중소기업 비정규직)의 경우 평균 근속연수는 3.82년에서 5.68년으로 길어졌으나 대기업 정규직을 크게 밑도는 수준이었고, 신규 채용률(40.7%→30.8%)은 여전히 높아 이직·입직이 활발한 편이라고 경총은 설명했다.

대기업 정규직과 여타부문 간 임금 격차는 지난 20년간 크게 개선되지 않았다. 여타 부문의 월임금은 대기업 정규직 대비 2004년 56.8%(143만원)에서 지난해 57.9%(288만원)로 소폭 오르는 데 그쳤다.

하종훈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