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분양도 양극화...수도권 미분양 감소율이 지방보다 4배 빨라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수정 2025-09-29 10:57
입력 2025-09-29 10:57
이미지 확대
1월 대비 7월 전국 미분양 아파트 변동율(단위 가구, 리얼하우스 제공)
1월 대비 7월 전국 미분양 아파트 변동율(단위 가구, 리얼하우스 제공)


1~7월 수도권의 미분양 아파트 소진 속도가 비수도권보다 4배 이상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미분양 시장에도 지역별 불균형이 두드러졌다.

29일 부동산 정보업체 리얼하우스가 국토부 자료를 분석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7월 아파트 미분양 물량은 6만 2244가구로, 연초 대비 1만 380가구(14.29%) 줄었다.

다만 감소율이 지역별로 격차가 컸다. 수도권은 32.74%로, 비수도권 평균인 7.40%와 비교해 4배 이상 빠르게 소진됐다. 수도권에서는 인천 미분양 감소율이 46.73%(3261가구→1737가구)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이어 경기지역이 30.54%(1만 5135가구→1만 513가구), 서울 23.59%(1352가구→1033가구) 순이었다.

경기와 인천에서 건설사의 움직임도 분주해졌다. 인천 미추홀구 ‘두산위브 더센트럴 도화’, 서구 ‘검단 센트레빌 에듀시티’, 수원 ‘망포역 푸르지오 르마크’, 과천 ‘디에이치 아델스타’ 등 최근 경기·인천 지역 분양이 잇따르는 이유다.

김선아 분양분석팀장은 “인천은 기업 밀집도와 도심 인프라가 우수하고, 서울과 광역교통망 접근성도 뛰어나다. 여기에 서울이나 경기 중심부 대비 저렴한 가격이 더해지면서 실수요가 꾸준히 유입되고 있다”고 했다.

수도권과 접근성이 좋은 강원(20.23%), 대전(27.73%) 지역 미분양도 연초에 비해 20% 이상 축소됐다. 특히 울산은 미분양이 35.81% 대폭 줄었다.



반면 부산은 연초보다 1047가구 증가해 5573가구, 대구 지역도 연초에 비해 235가구 증가하는 등 일부 광역시에서는 오히려 공급이 늘어나는 모습을 보였다.

김기중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