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그널 게이트’ 왈츠, 정부 업무 볼 때도 구글 지메일 썼다”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윤창수 기자
윤창수 기자
수정 2025-04-03 01:52
입력 2025-04-02 18:08

민간 메일로 무기·기술 논의 의혹
NSC 대변인 “기밀 오간 적 없다”

이미지 확대
마이크 왈츠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AFP 연합뉴스
마이크 왈츠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AFP 연합뉴스


민간 메신저에서 기밀을 논의하다 파장을 일으킨 이른바 ‘시그널 게이트’의 주인공 마이크 왈츠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평소 업무 처리에 민간 이메일인 구글의 ‘지메일’을 썼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AFP통신은 “지메일 사용이 드러나면서 왈츠 보좌관에 대한 경질론이 거세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워싱턴포스트(WP)는 1일(현지시간) 왈츠 보좌관 등 국가안보회의(NSC) 구성원들이 업무 관련 메일을 자신의 지메일 계정을 이용해 받았다고 보도했다. 왈츠의 한 고위 참모는 다른 정부 기관의 인사들과 분쟁 상황의 민감한 군사적 위치나 무기 시스템과 관련한 고도의 기술적 논의를 할 때 지메일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왈츠 보좌관도 자신의 일정표를 비롯한 업무 관련 문서들을 자신의 지메일 계정에 보냈고 회의 일정 등을 잡을 때 이를 ‘복사해 붙여넣기’ 하는 식으로 시그널 메신저에 보내곤 한 것으로 알려졌다.

WP는 민간 이메일 서비스는 암호화 수준에서 해킹 등의 위협에 더 취약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기밀이 아니라 하더라도 외국 정보기관이 국가안보보좌관과 같은 정부 고위 인사의 일정이나 소통 등에 큰 가치를 부여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개인 이메일을 사용하는 것은 위험한 행동”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브라이언 휴스 NSC 대변인은 “왈츠 보좌관은 공개된 계정으로 기밀 정보를 보낸 적도 없고 보내지도 않을 것”이라고 반박했다. 지메일을 통해서는 기존 연락처로부터 이메일과 일정 초대만 받았다는 것이다.하지만 민간 메신저 시그널 대화방에 언론인을 초대해 예멘 반군 후티에 대한 공습을 논의한 데 이어 보안이 허술한 민간 이메일을 사용한 사실이 드러나자 왈츠 보좌관이 안보 직무를 맡기에 부적합하다는 비난이 더욱 거세졌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시그널 게이트를 ‘마녀사냥’이라고 규정하며 왈츠 보좌관을 두둔했지만 막후에서는 크게 분노하며 경질을 고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윤창수 전문기자
2025-04-03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