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바젤 홍콩이 전 세계 9만 1000명의 관람객과 함께하는 등 지난 30일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아시아 지역 예술계의 주요 허브로서 홍콩의 역할을 재확인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31일 아트바젤에 따르면 올해 페어에는 42개국 및 지역에서 온 240개의 갤러리가 참여했다.
이미지 확대
아트바젤 홍콩의 전경. 아트바젤 제공
앙젤 시양-러 아트 바젤 홍콩 디렉터는 “아트 바젤 홍콩 2025는 다시 한번 홍콩이 글로벌 문화의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입증했다”며 “올해 행사는 다양하고 혁신적인 프로그램을 선보였을 뿐만 아니라, 아시아 예술 생태계의 번영을 육성하려는 우리의 깊은 헌신을 강조했다. 문화적 서사를 재정립하고 새로운 창작 가능성을 불러일으키며, 아시아 현대미술의 미래를 지원하는 데 전념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미지 확대
신민 작가의 설치, 아트 바젤 홍콩 2025 디스커버리즈 섹션, P21제공
신진 작가들을 지원하기 위해 올해 첫 선을 보인 ‘MGM 디스커버리즈 아트 프라이즈’에서는 한국 작가인 신민(40)이 선정됐다. 신민의 설치 작업 ‘유주얼 서스펙트: 으웩! 음식에서 머리카락’은 강렬한 상징성과 개인적 경험을 통해 사회적 규범과 체계적 불의를 대면하는 작품으로 평가받았다. 신민 작가와 해당 작가를 선보인 P21갤러리에는 상금 5만 달러(약 7300만원)가 수여되며 수상작가는 마카오에서 전시할 기회를 갖는다.
기성 한국 작가들의 작품도 좋은 반응을 얻었다. 설치 미술가 이불의 아트페어 출품작 2점은 최근 전속 계약을 맺은 대형 화랑 하우저앤워스를 통해 각각 26만∼27만 5000달러(약 3억8천만∼4억원)에 유럽의 재단에 판매됐다. 조현화랑은 이배 작가의 작품 8점을 모두 판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