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관 ‘출장 마일리지’는 퇴직해도 내 것…“뉴욕 1700번 왕복 가능”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신진호 기자
신진호 기자
수정 2025-10-05 12:33
입력 2025-10-05 12:33
이미지 확대
항공기 기내 모습. 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음. 픽사베이
항공기 기내 모습. 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음. 픽사베이


외교관이 퇴직해도 공무상 출장 등으로 쌓은 항공기 마일리지를 환수할 규정이 없어 개인이 그대로 보유하는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런 식으로 외교관이 그대로 보유한 채 퇴직한 항공 마일리지가 5년간 약 4억 6000만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5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소속 한정애 의원(더불어민주당)이 외교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1년부터 올해 9월 20일까지 외교부 퇴직자 662명은 합계 약 2328만 항공 마일리지를 보유했다.

이는 인천과 뉴욕을 1700번 왕복할 수 있는 거리다. 마일리지 항공권 공제 기준으로 환산(1마일리지=20원)하면 약 4억 6000만원에 해당한다.

장·차관급 등 고위직의 경우(올해 기준) 1인당 평균 9만 3370마일리지를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직원은 평균 1만 3042마일리지를 갖고 있었다.

이미지 확대
자료 이미지
자료 이미지


공적 출장 등에 따라 쌓이는 마일리지가 많다 보니 유효기간을 넘겨 소멸되는 규모도 적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유효기간 만료로 소멸한 마일리지는 약 2244만 마일리지였다.

이에 따라 공무상 여행 시 보유한 공적 마일리지의 공무 사용을 강제하거나 사회 공헌 활동 등에 활용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 의원은 “국민 세금으로 쌓인 공적 항공 마일리지가 퇴직자의 ‘제2의 퇴직금’처럼 방치돼선 안 된다”며 “국민 자산인 만큼 정부 부처 단위의 통합 관리 체계를 마련하고, 활용되지 못한 마일리지는 취약계층 지원 등 공익 목적에 환원해 국민 모두에게 돌아가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진호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