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유사의 산실 대구 군위 인각사 일원, 역사·문화·관광 명소로 뜬다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김상화 기자
수정 2025-08-25 13:18
입력 2025-08-25 13:18
이미지 확대
대구 군위군이 국가 유산 명승으로 지정을 추진 중인 삼국유사면 학소대 전경. 인각사 인근에 자리한 학소대에는 1950년대까지만 해도 수많은 백학이 서식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군위군 제공
대구 군위군이 국가 유산 명승으로 지정을 추진 중인 삼국유사면 학소대 전경. 인각사 인근에 자리한 학소대에는 1950년대까지만 해도 수많은 백학이 서식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군위군 제공


고려때 국사를 역임한 승려 일연이 ‘삼국유사’를 집필한 곳인 대구 군위 인각사(사적 제374호) 일대가 역사·문화·관광 명소로 떠오르고 있다.

군위군은 오는 2028년까지 삼국유사면 화북3길 3-24 일연공원(13만 7000㎡) 일대에 ‘삼국유사 체류형 관광거점 조성사업’을 추진키로 했다고 25일 밝혔다. 국토교통부의 ‘2025년 지역 수요 맞춤 지원 사업’ 공모에 선정된데 따른 것이다.

군은 내년부터 일연공원 일대에 총 사업비 35억원(국비 25억원 포함)을 투입해 ▲캠핑장 ▲물놀이장 ▲숲속 놀이터 ▲테마로드 등을 조성할 계획이다.

군은 또 삼국유사면 삼국유사로 230 천년고찰 인각사의 사적지 지정 범위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인각사 일대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보존 관리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을 위해서다.

이를 위해 군은 지난 6월 대구시를 통해 국가유산청에 기존 1만 3302㎡인 인각사 사적지 범위를 6만 9992㎡로 대폭 확대해 줄 것을 건의했다. 지금까지 실시한 인각사지 및 인근 지역 발굴조사 결과 사역(寺域)이 현재 드러난 면적보다 훨씬 큰 것으로 드러났기 때문이다.

특히 2023년과 지난해 인각사지 동쪽 100m 구릉 1823㎡ 등에 대한 발굴조사에서 통일신라시대 구들식 기와가마 2기가 동시에 발견되면서 전문가들에 의해 사적지 확대 필요성이 강조됐다.

이와 함께 군은 내년까지 인각사 건너편에 위치한 ‘학소대’ 일원을 국가지정 자연유산 ‘명승’으로 지정하기 위한 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김진열 군수는 “삼국유사의 산실인 인각사지를 잘 보존하고 그 가치를 널리 알리는 것은 물론 인근 일연공원, 군위댐 등과 연계해 군위군의 역사·문화·관광 인프라로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대구 김상화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