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수온 돌파구는?… 제주도 혼합어종 양식 추진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강동삼 기자
강동삼 기자
수정 2025-09-08 18:03
입력 2025-09-08 18:03

고수온 적응력 탁월한 아열대어종·고급횟감
올해 긴꼬리벵에돔·말쥐치 종자 생산에 성공
해양수산연구원, 혼합어종 양식 실증연구 박차

이미지 확대
고수온에 적응력 뛰어난 아열대어종 긴꼬리벵에돔. 제주도 해양수산연구원 제공
고수온에 적응력 뛰어난 아열대어종 긴꼬리벵에돔. 제주도 해양수산연구원 제공


이미지 확대
말쥐치. 제주도 해양수산연구원 제공
말쥐치. 제주도 해양수산연구원 제공


제주지역이 9월에도 한낮 체감온도가 33도를 오르내리는 가운데 여름철 고수온으로 인한 양식장 피해를 줄이기 위해 제주도가 돌파구 마련에 나섰다.

제주도 해양수산연구원은 기후변화로 인한 고수온 피해를 줄이기 위해 제주해역 서식 어종인 긴꼬리벵에돔과 말쥐치를 활용한 혼합 어종 양식 실증연구에 나선다고 8일 밝혔다.

고수온으로 인해 광어 양식장 피해가 지속되면서 고수온에 강한 대체 양식어종 개발 필요성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나온 대응책이다.

도에 따르면 지난해 7월 24일부터 10월 2일까지 총 71일간 고수온이 발생해 역대 최장 기록을 경신하면서 제주지역 양식장 78곳에서 광어 221만5000마리가 폐사해 총 54억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했다.

현재 도내 주요 양식 어종은 광어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 지하해수가 개발된 동부 지역에서는 강도다리가 광어를 대체하는 경우가 늘고 있으며, 일부에서는 터봇 등도 양식되고 있다.

연구원은 자연산 어미를 확보해 성숙유도를 통한 수정란을 생산했으며, 올해 긴꼬리벵에돔과 말쥐치 종자 생산에 성공했다.

9월부터 도내 양식장 4곳에 어종별로 각각 2곳씩 보급해 양식 실증을 시작했다. 향후 사육 환경별 양식 데이터를 확보하고 혼합양식 연구를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긴꼬리벵에돔은 벵에돔과 유사한 아열대 어종으로 최적 서식 수온이 24도 전후여서 고수온 적응성이 뛰어나다. 도내에서 고급 횟감으로 각광받고 있어 경제성도 갖춘 것으로 평가된다.

말쥐치는 도내에서 조림, 회 등으로 인기있는 어종이지만 현재 어획량이 급감하고 있어 양식을 통한 안정적 공급이 필요한 상태다.

강봉조 해양수산연구장은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수온 상승으로 광어양식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면서 “제주 양식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해 갈 수 있도록 기술 개발에 노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제주 강동삼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