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속한 공조, 섬마을서 15분 멈춘 심장 되살려

이종익 기자
수정 2025-07-04 14:37
입력 2025-07-04 14:37
보령 녹도 심정지 신고 실시간 대응
119 신고·심폐소생술·공조 출동
최진주 소방교가 응급처치 안내하고 있다. 도 제공
신속한 119 신고와 정확한 응급처치 안내, 기관 간 유기적인 공조가 구급차 한 대 없는 의료 불모지에서 쓰러진 70대 주민의 생명을 지켜냈다.
4일 도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오후 3시 29분쯤 소방본부 119종합상황실로 “보령시 녹도에 거주하는 A씨가 마을회관에서 갑자기 쓰러져 의식과 호흡을 잃었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119종합상황실 송주희 소방교는 심정지 등 위기 상황으로 판단, 구급상황관리팀 최진주 소방교에게 전화를 연결했다. 구급상황관리팀은 응급 상황 발생 시 처치 안내, 환자 이송 가능 병원 선정 역할을 맡고 있다.
최 소방교는 생명이 오가는 위기 상황임을 파악하고 음성에서 영상통화로 전환, 주민에게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도록 했다. 가슴 압박 위치를 조정과 독려하기도 했다. 제세동기 사용 방법을 설명하며, A씨에게 전기 충격을 가하도록 했다.
신고 접수와 심폐소생술 시행 15분 만에 A씨는 눈을 떴다.
최 소방교는 주민들에게 소방대가 도착할 때까지 A씨를 지켜보며 맥박을 살피도록 했다.
섬마을로 헬기를 띄워야 했지만, 충남소방헬기는 정비에 들어가 출동할 수 없는 상태로 충북소방헬기 긴급 투입을 요청했다.
충북소방헬기는 청주공항을 이륙 35분 만에 녹도에 도착, A씨를 전북 익산 원광대병원으로 이송했다.
최 소방교는 “주민들의 즉각적인 신고와 신속·정확한 응급처치, 3개 도 소방 공조 등 ‘삼박자’가 맞아떨어진 결과”라며 “도민 생명과 재산 보호를 위해 노력하겠다” 고말했다.
보령 이종익 기자
119 신고·심폐소생술·공조 출동

신속한 119 신고와 정확한 응급처치 안내, 기관 간 유기적인 공조가 구급차 한 대 없는 의료 불모지에서 쓰러진 70대 주민의 생명을 지켜냈다.
4일 도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오후 3시 29분쯤 소방본부 119종합상황실로 “보령시 녹도에 거주하는 A씨가 마을회관에서 갑자기 쓰러져 의식과 호흡을 잃었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119종합상황실 송주희 소방교는 심정지 등 위기 상황으로 판단, 구급상황관리팀 최진주 소방교에게 전화를 연결했다. 구급상황관리팀은 응급 상황 발생 시 처치 안내, 환자 이송 가능 병원 선정 역할을 맡고 있다.
최 소방교는 생명이 오가는 위기 상황임을 파악하고 음성에서 영상통화로 전환, 주민에게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도록 했다. 가슴 압박 위치를 조정과 독려하기도 했다. 제세동기 사용 방법을 설명하며, A씨에게 전기 충격을 가하도록 했다.
신고 접수와 심폐소생술 시행 15분 만에 A씨는 눈을 떴다.
최 소방교는 주민들에게 소방대가 도착할 때까지 A씨를 지켜보며 맥박을 살피도록 했다.
섬마을로 헬기를 띄워야 했지만, 충남소방헬기는 정비에 들어가 출동할 수 없는 상태로 충북소방헬기 긴급 투입을 요청했다.
충북소방헬기는 청주공항을 이륙 35분 만에 녹도에 도착, A씨를 전북 익산 원광대병원으로 이송했다.
최 소방교는 “주민들의 즉각적인 신고와 신속·정확한 응급처치, 3개 도 소방 공조 등 ‘삼박자’가 맞아떨어진 결과”라며 “도민 생명과 재산 보호를 위해 노력하겠다” 고말했다.
보령 이종익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