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소비·투자 늘고, 숙박·음식점은 고전… 널뛰는 한국경제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강동용 기자
강동용 기자
수정 2025-03-31 23:56
입력 2025-03-31 23:56

전산업 생산지수 한 달 만에 증가
토목 13.1%↑에 건설업 1.5% 올라

숙박·음식점 3년 만에 최대 감소
탄핵 국면 장기화·관세 ‘시계 제로’
기재부 “대외 리스크에 변동성 커”

이미지 확대


산업생산과 소비·투자가 한 달 만에 일제히 증가세로 전환했다. 건설업 생산이 7개월 만에 늘었고 경기 흐름을 보여 주는 동행·순환지수도 상향 곡선을 그렸다. 하지만 움츠러든 소비심리 탓에 숙박·음식점업 생산은 3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줄었고, 소매 판매도 감소세다. 지표가 오르락내리락 널을 뛰고, 뒤죽박죽인 상황이라 긍정적 측면을 부각하곤 하는 기획재정부조차 조심스러운 모양새다. 탄핵 국면 장기화와 미국 도널드 트럼프발 관세 전쟁 등 안팎의 불확실성 확대로 ‘시계(視界) 제로’에 놓인 한국 경제의 현주소다.

통계청이 31일 발표한 ‘2월 산업활동 동향’에 따르면 지난 2월 전(全)산업 생산 지수는 111.7(2020년=100)로 전월보다 0.6% 올랐다. 지난해 12월 1.8% 늘어난 뒤 1월 3.0% 줄었지만 한 달 만에 다시 증가했다. 광공업 생산은 전자부품(9.1%) 등이 호조를 보여 1.0% 증가했다. 건설업 생산도 토목이 13.1% 증가하며 1.5% 올라섰다. 통계청은 “철도·도로공사 진척분이 늘어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서비스 소비를 보여 주는 서비스업은 0.5% 늘었다. 도소매와 금융·보험에서 각각 6.5%, 2.3% 증가한 영향이다. 반면 숙박·음식점업은 3.0% 줄며 2022년 2월(-8.1%) 이후 3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내려앉았다. 탄핵 정국으로 정치적 불확실성이 이어진 데다 지난해 12월 잇따른 항공기 사고로 소비심리가 더욱 위축된 영향으로 보인다. 숙박·음식점업 생산은 1년 전과 비교해도 3.8%(불변지수) 감소했다. 지난해 2월 이후 매달 줄고 있고 최근 넉 달간은 감소 폭이 확대되고 있다.

재화 소비를 의미하는 소매 판매 지수도 1.5% 증가했다. 승용차 등 내구재 판매가 13.2% 늘어나며 2009년 9월 이후 최대 폭으로 뛴 결과다. 신형 갤럭시 휴대전화와 전기차 보조금 집행이 내구재 판매를 끌어올렸다. 현재 경기 상황을 보여 주는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와 향후 경기 국면을 예고해 주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도 0.1포인트씩 올랐다.

주요 지표가 전월보다 개선됐지만 이를 경기 회복세로 보는 전문가는 없다. 최근 산업활동 동향 지수가 매달 등락을 거듭하며 불안한 흐름을 이어 가고 있어서다. 생산·소비·투자 지표는 지난해 11월 ‘트리플 감소’를 기록한 뒤 매달 동반 증가와 감소를 되풀이하고 있다. 조성중 기재부 경제분석과장은 “최근 월별 변동성이 크게 나타나는 모습이고 앞으로 미국 관세 부과 등 대외 리스크도 큰 상황”이라며 “‘트리플 증가’라고 해서 경기 회복에 긍정적인 신호라고 말할 수 없다”고 평가했다.

세종 강동용 기자
2025-04-01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